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4.20 14:42:56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육계, 사료, 전선, 도시가스, 남북경협,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조선,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손해보험, 생명보험, 구제역/광우병 수혜, 자전거, 우주항공산업, 겨울, 항공/저가 항공사(LCC) 등...
약세 테마희귀금속(희토류 등),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비철금속, 리튬, 마이크로바이옴, 2차전지(소재/부품), 북한 광물자원개발, NI(네트워크통합), 리비안(RIVIAN), 전기차, 면역항암제, 제4이동통신, 폐배터리, AI 챗봇(챗GPT 등), 화학섬유, 줄기세포, 스마트카(SMART CAR), 탄소나노튜브(CNT), 웹툰, 전기차(충전소/충전기), 갤럭시 부품주, 2차전지(장비), 휴대폰부품, 미용기기,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사료/ 비료/ 농업올해 곡물 생산 감소 전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올해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세계 주요 곡물 생산지인 인도의 쌀과 밀 생산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해짐. 엘니뇨는 인도의 곡물 생산량을 좌우하는 6~9월 몬순 기간의 강우량을 감소시키는데, 몬순 시기 강우량이 줄면 밀과 쌀 수확량 역시 급감할 것으로 전망. 인도는 세계 쌀 1위, 밀 2위 생산국임.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다국적 시장조사업체 피치의 시장조사 자회사 피치 솔루션은 지난 4일 보고서를 통해 2022~23년 판매연도(7월~다음해 6월) 기준으로 올해 국제 쌀 시장 공급량이 수요에 비해 870만t 부족하다고 예상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2003~04년 판매연도(1,860만t 공급 부족) 이후 가장 많이 모자란 수준임.

▷한편, 러시아와의 전쟁에도 우크라이나의 해상 곡물 수출길을 열어준 흑해 곡물 협정이 중단 위기에서 이틀 만에 가까스로 벗어난 것으로 전해짐.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흑해 곡물 협정 실무를 총괄하는 공동조정센터(JCC)의 스테판 두자릭 유엔 조정관 대변인은 “유엔과 튀르키예가 중재한 논의 끝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새로운 선박에 대한 협정 적용에 동의했다”면서 검사팀이 이미 작업에 착수했다고 언급했으며, 우크라이나의 올렉산드르 쿠브라코우 부총리도 페이스북에 “협정을 방해하려는 러시아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선박 검사가 재개되고 있다”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팜스토리, 한일사료, 미래생명자원, KG케미칼, 효성오앤비, 누보 등 사료/비료/농업 테마가 상승.
조선하반기 본격 성장 기대감 및 신조선가 상승 등에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1분기에는 실적이 부진할 것이지만, 상반기까지는 늦은 턴어라운드, 하반기부터 본격 성장을 예상. 조선사들은 턴어라운드 초기 실적이 기대를 하회하고 본격적인 실적 성장기에 기대를 상회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밝힘.

▷아울러 2022년 클락슨 중고선가는 146pt로 전년비 20% 하락했지만 신조선가는 161pt로 오히려 5% 상승했고, 컨테이너와 벌크 시황 Peak-Out이 중고선가를 무너뜨렸지만 신조선가는 LNG선이 신고가를 경신하고 다른 선종이 동반 상승하며 올랐다고 밝힘. 과거 호황기였다면 수요가 빠지거나 조선사들이 증설을 진행하며 중고선가 하락이 신조선가 하락으로 연결되었겠지만, 현재 조선사들은 코로나와 러-우 전쟁을 거치는 동안 상황을 냉정하게 바라보며 증설을 조절하고 있어 선가 협상에서 조선사가 여전히 우위에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HJ중공업, HD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등 조선 테마가 상승.
영상콘텐츠콘텐츠 공급 부족 및 넷플릭스 구독자 감소 영향 지속 등에 하락
▷일부 언론에 따르면, K-팝 흥행에 엔터주 주가는 날개를 달았지만, 더글로리 등 K-드라마의 글로벌 흥행에도 콘텐츠 제작사 주가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콘텐츠 제작사 주가의 지지부진한 흐름은 아직까지 콘텐츠 공급이 그 인기를 미처 따라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 등으로 분석되고 있음.

▷넷플릭스 구독자 감소 여파도 지속되는 모습. 지난 18일(현지시간) 넷플릭스가 발표한 1분기 실적에 따르면, 1분기 구독자 수는 175만명 증가하는 데 그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시장 전망치인 206만명보다 30만명 가량 적은 수치임.

▷이 같은 소식에 대원미디어, 팬엔터테인먼트, 래몽래인, 에프엔씨엔터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하락.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18 15:30
팜스토리 1,218 2 +0.16%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18 22:2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