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자체 예산 300조원 첫 돌파…작년보다 5.9% 늘어
재정자립도 50.1%, 3년 만에 50% 상회…자주도는 74.1%
김윤구
입력 : 2023.04.25 12:00:23
입력 : 2023.04.25 12:00:23

시·도별 예산 현황(당초, 일반+특별회계, 총계)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2023년 지방자치단체 총예산 규모가 305조4천억원으로 지난해(288조3천억원)보다 17조1천억원(5.9%) 늘었다고 행정안전부가 25일 밝혔다.
세입은 지방세 115조3천억원(37.7%), 보조금 77조8천억원(25.5%), 교부세 63조4천억원(20.8%), 세외수입 24조7천억원(8.1%), 지방채 2조9천억원(0.9%) 등으로 구성됐다.
지방소비세, 지방소득세 등 지방세가 6조8천억원(6.2%) 증가했으며, 교부세는 5조원(8.6%) 늘었다.
지방채무 관리 강화 등 건전재정 기조 전환의 영향으로 지방채는 지난해 4조원보다 1조1천억원(28.5%) 감소했다.
지자체 재정자립도는 50.1%로 작년(49.9%)보다 0.2%포인트 높아져 2020년 이후 3년 만에 50%를 상회했다.
재정자립도는 자치단체 재원에서 자체 수입(지방세+세외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다.
재정자주도(전체 세입에서 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편성·집행할 수 있는 재원의 비율) 역시 74.1%로 작년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2023년 지자체 예산은 건전재정을 기조로 지역경제 회복·민생안정에 초점을 두고 편성했다.
지출 분야별로 살펴보면 사회복지·보건 분야의 증가(+78조원·8.3%↑)가 두드러졌다.
다음으로는 환경(+1.8조원·↑6.4%), 농림해양수산(+1.7조원·↑8.7%), 교통·물류(+1.6조원·↑6.8%) 분야 예산이 많이 늘었다.
시도별(본청, 총계 기준) 현황을 보면 전년 대비 예산 증가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서울로 3조원(6.7%) 늘어난 47조2천억원이었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로, 예산이 10.5%(7천억원) 증가한 7조1천억원이었다.
증가율이 가장 낮은 단체는 경기(+2천억원·0.6%↑)였다.
올해 지방재정 규모를 담은 2023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 개요는 5월 중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 '지방재정365'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최병관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불필요한 지출을 줄여 재정건전성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력 회복, 취약계층 지원 등 가치 있는 투자로 지방재정이 적재적소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와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y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수박 배추 닭고기 계란 안오르는 게 없어요”...펄펄 끓는 폭염, 더 뜨거운 식탁물가
-
2
술병에 박제된 염소·사슴·두꺼비…주류 브랜드에 동물이 깃든 까닭
-
3
태백시, 고령자·저시력자 '큰 글씨 지방세 고지서' 도입
-
4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원 돌파…공매도 재개 이후 최고
-
5
순창군, 관광플랫폼 쿠폰집 출시…할인·선물 혜택
-
6
농관원, 휴가철 축산물 원산지 표시 현황 점검
-
7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8
"갤럭시 AI, 말하지 않아도 알아서 챙겨주게 될 것"
-
9
상반기 WTO 회원국 무역기술장벽 통보 2천195건…역대 최다
-
10
온두라스 섬에 '한국의 선물' 태양광발전 시설 들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