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사이 시총 1조씩 날아갔다…주가 70% 넘게 빠진 종목들

백지연 매경닷컴 기자(gobaek@mk.co.kr)

입력 : 2023.04.29 09:23:24 I 수정 : 2023.04.29 10:06:41
딜링룸.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외국계 증권사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매물 폭탄에 연일 급락세를 탔던 8개 종목의 시가총액이 일주일 사이 평균 1조원씩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다올투자증권·다우데이타·대성홀딩스·삼천리·서울가스·선광·세방·하림지주 등 8개 종목의 시가총액 총합은 전일 기준 약 4조3456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사태가 발생하기 직전 거래일인 지난 21일 시총 합계(약 12조1949억2000만원)보다 7조8492억9000만원 급감한 수준이다.

8개 종목의 평균 시총 감소액은 9811억6000만원이다.

이 기간 시총 감소분이 가장 큰 종목은 서울가스다. 2조3375억원이었던 시총은 일주일 만에 6395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대성홀딩스(-1조5453억9000만원)와 삼천리(-1조3969억6000만원), 다우데이타(-1조26억9000만원)도 이 기간 1조원 이상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이 기간 주가 등락률을 보면 선광이 지난 21일 종가 16만7700원에서 전날 종가 4만1250원으로 75.40%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률을 나타냈다. 대성홀딩스(-73.83%), 서울가스(-72.64%), 삼천리(-69.25%), 다우데이타(-60.11%), 세방(-58.05%), 하림지주(-42.55%), 다올투자증권[030210](-35.62%) 등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번 주 선광, 대성홀딩스, 서울가스 3개 종목은 지난 24∼27일 4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맞기도 했다. 삼천리의 경우 24∼27일 3거래일 연속 하한가 직행 후 전날 가까스로 하한가를 벗어났지만 여전히 30%에 가까운 급락률(-27.19%)을 보였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사태가 차액결제거래(CFD)로 레버리지(차입) 투자를 하다가 증거금 부족으로 반대매매가 벌어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증권사 사장들을 긴급 소집해 CFD 등 레버리지 투자 관련 리스크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또 금융위원회는 이번 사태의 주가조작 세력으로 지목된 업체의 사무실 및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하고 서울남부지검도 관련자 10명을 출국금지 조치하는 등 금융당국과 업계 전반이 사태 파악과 파장 차단에 나선 상태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번 사태에 대해 “지위고하나 재산의 유무 또는 사회적 위치 고려 없이 신속하고 엄정하게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관련 종목

02.21 15:30
삼천리 90,300 100 -0.11%
대성홀딩스 6,970 20 +0.29%
다올투자증권 2,690 30 -1.10%
다우데이타 10,740 10 +0.09%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23 06:3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