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90% "내국인 근로자 못 구해 외국인 근로자 고용"
중기중앙회, 중소 제조업체 1천개 실태조사…숙식비 제외 인건비, 내국인 94% 수준체류 기간 연장·불성실 외국인력 제재 장치 마련 주문
박상돈
입력 : 2023.01.18 12:00:08
입력 : 2023.01.18 12:00:08
2022.10.3 yoo21@yna.co.kr
(홍천=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3일 강원 홍천군 내면 고랭지 밭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비가 내리는 가운데 배추 수확을 서두르고 있다.
2022.10..
yoo21@yna.co.kr(끝)
또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최대 9년 8개월인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 기간을 더 연장해야 한다고 봤다.
잦은 사업장 변경 등 불성실한 외국 인력에 대한 제재 장치 마련은 현 고용허가제의 가장 시급한 개선 과제로 꼽혔다.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이는 지난해 조사 때보다 14.9%포인트나 급등한 것이다.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업무·연차 등 동일 조건의 내국인 근로자 생산성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외국인 근로자의 생산성 수준은 3개월 미만 고용 초기에는 53.8% 수준에 그쳤으나 연차가 쌓일수록 상승해 3년 이상 근무자는 93.0%에 달했다.
지난해 외국인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인건비는 평균 265만7천원 정도로 동일 조건 내국인 근로자와 비교해 숙식비를 제외하면 평균 93.9% 수준이었다.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숙소를 외국인 근로자에게만 제공하는 경우는 62.0%였고 내·외국인 근로자 모두 제공하는 것은 36.3%였다.
외국인 근로자가 이용하는 숙소는 사업 장 내 건물(57.4%)이 가장 많고, 단독·다세대·아파트 등 일반주택(22.4%), 컨테이너·조립식 패널 등 임시 거주 시설(5.6%)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9월 정부의 개별기업에 대한 외국인 근로자 고용 한도 상향 조치에도 외국인 근로자 고용 한도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의견이 50.4%로 절반이 넘었다.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 기간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81.0%였다.
응답 기업의 62.9%는 3년 이상 추가 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재판매 및 DB 금지]
재판매 및 DB 금지]
현 고용허가제의 가장 시급한 개선 과제로 사업장 변경 횟수 제한 등 불성실 외국인력에 대한 제재 장치 마련(30.1%)이 가장 많이 꼽혀다.
이어 외국인 근로자 생산성을 고려한 임금적용 체계 마련(21.5%), 외국인 근로자 체류 기간 연장(14.3%), 4년 10개월간 사업장 변경을 하지 않은 외국인에 대해 인센티브 부여(12.7%) 등의 순이었다.
이는 지난해 조사 때보다 14.9%포인트나 급등한 것이다.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원익머트리얼즈(104830) 소폭 상승세 +3.22%, 3거래일 연속 상승
-
2
코스콤, 모바일 채권 정보 서비스 ‘BOND CHECK’ 출시
-
3
DMS,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4
샘씨엔에스(252990) 소폭 상승세 +3.03%, 4거래일 연속 상승
-
5
엠씨넥스(097520) 소폭 상승세 +3.03%
-
6
인기검색 20종목
-
7
니케이지수(일본) : ▼198.51엔(-0.51%), 38,868.02엔 [오후장출발]
-
8
캔버스엔, 24년 개별 영업손실 49.04억원
-
9
아이스크림미디어(461300) 소폭 상승세 +3.90%, 4거래일 연속 상승
-
10
라온텍(418420) 상승폭 확대 +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