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올해 농가소득 2.2% 증가한 4천802만원 전망"

"농업교역 조건 개선…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가능할 듯"
신선미

입력 : 2023.01.18 10:00:03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올해 농가소득이 지난해보다 2.2% 증가한 4천802만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은 1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업전망 2023대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발표했다.

지난해 농가소득은 경영비 증가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1.6% 감소한 4천699만원으로 추정됐는데, 올해 다시 증가한다는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농경연은 또 올해 농업생산액은 1.2% 감소한 57조9천340억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쌀 등 주요 품목의 생산량이 감소해 재배업 생산액은 0.6% 감소하고 축산업·잠업 생산액도 1.9% 감소한다고 예상했다.

농경연은 올해 농업교역 조건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 곡물가격이 안정돼 사료비는 하락하고 천연가스 가격 하락으로 비료비도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올해 농식품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8.5% 늘어 95억8천만달러가 될 것으로 내다봤고 정부의 수출 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100억달러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농경연은 곡물과 채소 등 품목별로 공급량과 가격 등에 대한 전망도 내놨다.

올해 쌀 단경기(수확한 쌀의 공급이 끊겨 쌀값이 오르는 시기, 통상 7∼9월) 가격은 시장 공급물량 감소 등으로 지난해 수확기(10∼12월)보다 9% 올라 20㎏에 5만1천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상반기 감자 가격은 저장감자 부족으로 지난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배, 감귤, 복숭아, 단감, 포도, 사과 등 6대 과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한우(거세우)와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하락하고 달걀과 닭고기, 오리고기는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유 원유(原乳) 생산량은 지난해 197만8천t(톤)보다 적은 194만t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s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13:4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