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올해 농가소득 2.2% 증가한 4천802만원 전망"
"농업교역 조건 개선…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가능할 듯"
신선미
입력 : 2023.01.18 10:00:03
입력 : 2023.01.18 10:00:03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올해 농가소득이 지난해보다 2.2% 증가한 4천802만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은 1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업전망 2023대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발표했다.
지난해 농가소득은 경영비 증가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1.6% 감소한 4천699만원으로 추정됐는데, 올해 다시 증가한다는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농경연은 또 올해 농업생산액은 1.2% 감소한 57조9천340억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쌀 등 주요 품목의 생산량이 감소해 재배업 생산액은 0.6% 감소하고 축산업·잠업 생산액도 1.9% 감소한다고 예상했다.
농경연은 올해 농업교역 조건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 곡물가격이 안정돼 사료비는 하락하고 천연가스 가격 하락으로 비료비도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올해 농식품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8.5% 늘어 95억8천만달러가 될 것으로 내다봤고 정부의 수출 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100억달러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농경연은 곡물과 채소 등 품목별로 공급량과 가격 등에 대한 전망도 내놨다.
올해 쌀 단경기(수확한 쌀의 공급이 끊겨 쌀값이 오르는 시기, 통상 7∼9월) 가격은 시장 공급물량 감소 등으로 지난해 수확기(10∼12월)보다 9% 올라 20㎏에 5만1천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상반기 감자 가격은 저장감자 부족으로 지난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배, 감귤, 복숭아, 단감, 포도, 사과 등 6대 과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한우(거세우)와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하락하고 달걀과 닭고기, 오리고기는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유 원유(原乳) 생산량은 지난해 197만8천t(톤)보다 적은 194만t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sun@yna.co.kr(끝)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은 1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업전망 2023대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발표했다.
지난해 농가소득은 경영비 증가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1.6% 감소한 4천699만원으로 추정됐는데, 올해 다시 증가한다는 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농경연은 또 올해 농업생산액은 1.2% 감소한 57조9천340억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쌀 등 주요 품목의 생산량이 감소해 재배업 생산액은 0.6% 감소하고 축산업·잠업 생산액도 1.9% 감소한다고 예상했다.
농경연은 올해 농업교역 조건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 곡물가격이 안정돼 사료비는 하락하고 천연가스 가격 하락으로 비료비도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올해 농식품 수출액은 지난해보다 8.5% 늘어 95억8천만달러가 될 것으로 내다봤고 정부의 수출 지원이 확대됨에 따라 100억달러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농경연은 곡물과 채소 등 품목별로 공급량과 가격 등에 대한 전망도 내놨다.
올해 쌀 단경기(수확한 쌀의 공급이 끊겨 쌀값이 오르는 시기, 통상 7∼9월) 가격은 시장 공급물량 감소 등으로 지난해 수확기(10∼12월)보다 9% 올라 20㎏에 5만1천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상반기 감자 가격은 저장감자 부족으로 지난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배, 감귤, 복숭아, 단감, 포도, 사과 등 6대 과일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밖에 한우(거세우)와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하락하고 달걀과 닭고기, 오리고기는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유 원유(原乳) 생산량은 지난해 197만8천t(톤)보다 적은 194만t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s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산업장관 후보자, 두산에너빌리티 등 '이해충돌주' 처분에 관심
-
2
재계, 상법 개정에 대응 고심…황금주 등 경영방어수단 도입 촉구
-
3
롯데타운 잠실, 포브라더스 등 '면요리 전문점' 잇달아 입점
-
4
작년 폐업자 100만명 처음 넘었다…소매업·음식점이 거의 절반
-
5
'6억원 제한' 초강수에 은행권 주담대 신청액 '반토막' 났다
-
6
소상공인에 법인사업자까지 줄폐업…추경이 반전 불씨될까
-
7
'사업자대출 꼼수'로 주택 매수 차단…금융당국 이달 전수점검
-
8
“6·27 규제는 맛보기”라는 李대통령…더 센 카드 뭐가 나오나
-
9
'갤럭시 Z 플립·폴드 7' 9일 공개…울트라급 성능 예고
-
10
삼성전자 반도체, 2분기 '바닥' 찍었나…하반기 반등 해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