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석유화학·배터리 재사용·재활용…'CE 9 프로젝트' 시동
산업부 '순환경제 활성화 통한 신성장 전략'…순환경제 프로젝트 9개업종 선정 플라스틱 폐자원 확보 인프라 확대·희소금속 재자원화 등 "탄소배출 줄이고 자원수급 안정화 꾀하고"
이슬기
입력 : 2023.06.21 08:00:08 I 수정 : 2023.06.21 16:29:38
입력 : 2023.06.21 08:00:08 I 수정 : 2023.06.21 16:29:38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정부가 철강, 석유화학, 배터리 등 주요 산업별로 '9대 순환경제 선도프로젝트'(CE 9 프로젝트)를 정하고 산업 전반에 순환경제가 빠르게 확산하도록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오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순환경제 활성화를 통한 산업 신성장 전략'을 공개했다.
제품을 사용 후 폐기하는 기존 선형경제와 비교했을 때 순환경제는 자원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경제체제를 말한다.
▲ 제품 생산 시엔 자원을 적게 사용하고 ▲ 사용한 자원은 오래 사용하며 ▲ 사용 후에는 자원을 재생하는 것이 순환경제의 핵심이다.
산업부가 'CE(Circular Economy·순환경제) 9 프로젝트'라고 이름 붙인 이번 신성장 전략에는 석유화학, 철강, 비철금속, 배터리, 전기전자, 섬유, 자동차, 기계, 시멘트 등 9개 업종이 포함됐다.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우선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플라스틱 폐자원 확보를 위한 인프라를 확대하는 등 열분해유 생산을 늘리고, 폐플라스틱 해중합·플라스마 열분해 등 기술 개발을 통해 고급 원료화를 꾀한다.
철강·비철금속 업종에서는 철스크랩(고철)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희소금속 28종의 전 과정 수급을 파악해 희소금속을 재자원화한다.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분야에서도 재사용·재활용 기반을 만든다.
재사용 배터리 안전성 검사 제도와 전기차 배터리 전 주기의 이력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사용후 배터리에서 리튬·니켈 등의 회수·활용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밖에 전기전자, 섬유, 자동차, 기계, 시멘트 등 업종에서도 순환경제의 새 성장동력을 찾을 방침이다.
산업부는 "순환경제를 통해 탄소배출을 줄이고 자원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국적 경영 컨설팅 기업 액센추어에 따르면 순환경제의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까지 4조5천억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산업부는 우리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과 핵심 자원의 국내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 전반에 걸친 순환경제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관계 부처 참여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국내외 재생원료 공급망 구축을 지원한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이번 전략이 산업 부문의 순환경제 전환을 본격화하는 출발점이라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관 모두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한 만큼 소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wis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AI 시대인데 많이 올랐어도 믿어야”…‘이 업종’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는
-
2
“원전 뜬다고 특정기업 몰빵했다간”…위험 분산·세혜택 챙기려면 ETF
-
3
"폭염, 우유 생산량 최대 10% 감소시켜…냉각장치 효과 제한적"
-
4
주유소 기름값 3주 연속 상승…"다음 주부터 하락 전망"
-
5
올트먼 오픈AI CEO, 민주당 비판하며 "소속감 느끼는 정당 없어"
-
6
[부동산캘린더] 내주 전국 8천845가구 분양…전주보다 2천370가구↑
-
7
무한 경쟁에 공공성 약화한 TV홈쇼핑…"블랙아웃 가능성 여전"
-
8
강원 낮 최고 35도 무더위…내륙·산지 흐리고 빗방울
-
9
“외국인 韓부동산 사려면 자기자본 절반·국내 체류 1년 이상”…野, 개정안 발의
-
10
납북자가족, 대북전단 중단 선언한다…8일 파주시와 공동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