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다른 남녀 결혼 많은 韓...소득불평등 낮췄다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입력 : 2023.01.19 15:26:52
입력 : 2023.01.19 15:26:52
주요국 대비 ‘소득동질혼’ 비중 낮아
가구 불평등 10% 낮추는 효과
가구 불평등 10% 낮추는 효과
한국은 남녀간 소득 차이가 있는 결혼 비율이 다른 선진국보다 높아 가구간 소득불평등을 10% 가량 낮추는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9일 박용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차장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소득동질혼(소득수준이 비슷한 남녀간 결혼)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주요국중 최하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 남성과 저소득·비취업 여성끼리 혹은 저소득비취업 남성과 중위소득 여성끼리 결혼이 다른 나라보다 빈번히 일어나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부부소득간 상관계수 0.6인데 이는 분석대상 34개국중 33위였다. 부부소득이 유사한 가구가 얼마나 빈번히 관측되는지를 측정한 소득동질혼지수는 분석대상국중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남녀간 경제활동과 가사·육아 등 분업이 이뤄진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했다. 박 차장은 “고소득 남편의 외벌이 비중이 높은데 아내가 얼마나 가사나 육아, 교육에 힘쓸 수 있는지 등을 배우자 선정 기준으로 삼는 것이 이유중 하나일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결혼 후 육아나 가사에 집중하기 위해 여성의 경력단절이 발생했고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해 분업이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소득 차이가 있는 남녀간 결합은 가구내 소득불평등 수준을 줄이는데 기여했다. 주요국의 개인과 가구의 지니계수를 분석한 결과 개인 근로소득 지니계수는 0.547로 평균(0.510)보다 높았지만 가구의 경우 0.361로 평균(0.407)에 못미쳤다. 지니계수는 0~1사이에 분포되는 소득불균형 지수로 0에 가까우면 평등하고 1에 가까우면 불평등하다.
보고서는 한국의 소득동질혼 비중이 주요국 평균 수준이면 가구 근로소득 지니계수는 0.396으로 10%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박 차장은 “국내 소득동질혼 경향 등은 가구의 소득공유 효과에 유리하게 작용해 다소 높은 노동시장에서 불평등과 부족한 정부 재분배 정책을 보완하고 있다”고 밝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1억원 이상 매수체결 상위 20 종목(코스닥)
-
2
한화솔루션,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1,069.51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3
1억원 이상 매도체결 상위 20 종목(코스피)
-
4
‘일본의 MSTR’ 메타플래닛···9개월만에 주가 1693% 급등
-
5
현대글로비스, 주당 3,700원 현금배당 결정
-
6
4.4%대로 하락한 美 10년물 금리···“4.5% 위에서 비중 확대”
-
7
삼아알미늄(006110) 소폭 상승세 +4.99%
-
8
1억원 이상 매수체결 상위 20 종목(코스피)
-
9
신성이엔지, 24년 연결 영업이익 53.69억원
-
10
KB금융, 주가 끌어올린 ‘밸류업 날개’ 꺾이자 6%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