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M, 주도권 쟁탈전…신세계·롯데·GS '배송·특화 상품' 맞불
윤형섭
입력 : 2023.07.04 17:22:29
입력 : 2023.07.04 17:22:29
【 앵커멘트 】
대기업이 체인점 방식으로 운영하는 슈퍼마켓을 기업형 슈퍼마켓, SSM이라고하죠.
마트보다 크기는 작지만 접근성이 좋아 최근 SSM이 다시 성장세를 보이는데요.
신세계와 롯데·GS 등 유통업계가 SSM 경쟁력 확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윤형섭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 5월 주요 SSM 매출은 전년 동월보다 5.2% 증가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같은 기간 대형마트 매출은 1.7% 느는데 그쳤고, 백화점은 0.2% 감소했습니다.
SSM이 성장세를 보이자 유통업체들이 SSM 강화 전략을 들고 나왔습니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더프레시는 지난달 기준 운영 점포 400점을 돌파했습니다.
가맹점을 공격적으로 늘렸기 때문인데, 가맹점 비율은 5년 전 전체 점포의 39%에서 올해 66%로 급증했습니다.
늘어난 가맹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본사가 제품 포장이나 관리 등을 맡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또 요기요와 협업하는 등 퀵커머스도 차별화 요인으로 꼽힙니다.
온라인 연계를 통한 배송 강화로 지난해 GS더프레시의 퀵커머스 매출은 전년 대비 220% 성장했습니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지난달 생필품 브랜드를 공식 출시하는 등 자체브랜드를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전체 점포의 약 90%가 직영점이기 때문에 매장에 주류 등 특화 상품으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입니다.
롯데슈퍼는 롯데마트와 상품 소싱과 온라인몰을 통합하는 등 효율화 작업이 한창입니다.
중복되는 업무를 줄여 수익성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공격적 확장보다 점포 효율화로 내실 경영을 한다는 방침인데 올 1분기 운영 점포는 363개로, 지난해 1분기에 비해 32개 줄었습니다.
각기 다른 전략에도 전문가들은 SSM이 향후 공통적으로 유통업체의 물류 기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인터뷰(☎) : 이창원 /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
- "전국적으로 체인점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 가까이에 있는 물류 배송지 역할을 할 수 있고…"
SSM이 판매를 넘어 배송 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업계 판도가 어떻게 바뀔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윤형섭입니다.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투자능력고사] 주식남녀 / 트럼프 ‘관세 통보‘ 임박…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
2
[투자능력고사] 주식남녀 / 변동성 커진 국내 증시, 투자자 대응 전략은?
-
3
[투자능력고사] 주식남녀 / 부진한 조선·방산·원전 보유자 대응 전략은?
-
4
[투자능력고사] 주식남녀 /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정책 수혜주는?
-
5
내란특검, 尹 2차 소환…"체포영장 집행저지부터 조사…순조"(종합)
-
6
"바다로 가자"…울산 해수욕장들에 피서객 '북적'
-
7
'위약금 면제 결정' SKT, 위약금 환급조회 페이지 오픈
-
8
'李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21일부터 1인당 15만∼55만원(종합)
-
9
은행서 막혀 대부업체로, 여기도 안되면 불법 사채시장…대출규제 ‘풍선효과’ 우려
-
10
여수산단 화학제품 공장서 불…인명피해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