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강원, 기존 M&A 협상 백지화...대기업 접촉
입력 : 2023.07.14 08:55:08
제목 : 플라이강원, 기존 M&A 협상 백지화...대기업 접촉
인수자금 자체 부담 능력 결여, FI 통한 컨소시엄 구성 요구에 새후보자 물색
대기업과 실무협의 진행중…다음 주 관계자 미팅 예정[톱데일리] 법정관리에 돌입한 플라이강원이 새로운 투자자로 국내 굴지의 대기업을 접촉하고 있다. 기존에 협상을 벌였던 원매자들이 300억원 규모의 인수 자금도 자체적으로 마련할 수 없을 만큼 자금 조달 능력이 낮은 까닭이다. 매각자 측은 다음 주 국내 대기업 한 곳과 관계자 미팅을 열고 유의미한 성과 도출에 나설 방침이다.
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스토킹호스 방식의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하 고 있는 플라이강원은 대기업과 투자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딜(Deal) 상황에 밝은 관계자는 "국내 대기업 한 곳과 진지하게 협상 중"이라며 "다음 주 대기업 오너와의 미팅이 예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실무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으로 법률적 검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이달 이후 성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기존 원매자들의 자금력이 예상보다 크게 떨어지자 매각자 측이 대기업과 협상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매각자 측은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던 강원도 삼척 기반의 중견기업 건설사 등 2곳을 중심으로 협상을 벌였다. 하지만 해당 원매자들은 인수를 위해 필요한 200억~300억원(채권총액) 규모의 자금 조차 조달할 수 있는 여력이 되지 않아, 매각자 측에 재무적투자자(FI)와 컨소시엄 구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매각자 측은 회생계획안 인가는 물론 경영정상화를 이끌기 위한 재정적 능력을 충족하지 못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자금적으로 여유가 많지 않은 데다 재무적투자자들은 결국 출자자(LP)를 활용해 인수한 이후 해당 매물을 되팔게 되는 구조인 만큼 향후 회생계획안 인가의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기업과의 협상은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플라이강원이 투자자를 확보해 오는 9월15일까지 서울회생법원(이하 법원)에 회생계획안을 제출할 계획인 만큼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점에서다. 상황에 따라 회생계획안 제출을 연장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회생계획안 제출은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0조에 의거해 이해관계인의 신청 또는 법원의 직권으로 2개월 이내로 연장이 가능하다.
다만 매각자 측은 현재 대기업과의 협상이 진지하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회생계획안 제출이 연장될 가능성을 낮게 판단하고 있다. 앞선 관계자는 "인수의향을 피력한 곳이 꽤 있지만 (덩치가 너무 작아)매각자 측은 접촉하고 있지 않다"라며 "큰 업체가 없다면 해당 원매자들을 검토해야겠지만 지금은 진지하게 붙어서 논의하고 있는 대기업이 있어 해당 협상에 집중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한편 플라이강원의 운항 중단 이후 양양국제공항의 분위기도 변화하고 있다. 플라이강원의 운항 중단으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타 항공사를 통한 노선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최근 소형항공사인 하이에어는 양양(김포)~김포(양양) 노선의 운항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하이에어 홈페이지에는 양양과 김포를 잇는 항공편 검색이 활성화됐다. 다만 아직 예약 등의 절차는 진행할 수 없다.

톱데일리
권준상 기자 kwanjjun@topdaily.co.kr
해당 기사는 톱데일리(www.topdaily.kr)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09 15:30
대한항공 | 20,150 | 300 | -1.47%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속보] 뉴욕증시,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에 장중 급등…나스닥 8%↑
-
2
"금융위기 징후"…美국채 투매 지속에 국제금융시장 위기감 고조
-
3
[속보] 트럼프 "90일 유예 기간 상호관세는 10%…즉시 발효"
-
4
美무역대표, 北·러 상호관세 제외에 "제재·금수 조처 때문"
-
5
'23% 급락' 애플 주가, 美의 對中 104% 관세 발효 첫날 3.8% ↑
-
6
테슬라, 트럼프 순방 앞두고 세계 최대 석유수출국 사우디 진출
-
7
[속보] 트럼프 "중국 관세 125%로 즉각 인상"
-
8
[속보] 트럼프 "美관세에 보복않는 국가에 90일 상호관세 유예"
-
9
[속보] 한국 상호관세 25%서 90일 유예기간엔 기본관세 10%만 적용
-
10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에 미 증시 폭등.. 테슬라 15% 애플 11%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