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보이스피싱 수사 AI '벨루가' 개발…"챗GPT보다 우수"
51억 들여 완성해 실증…내년부터 수사 실전 적용 사기 여부 자동 분석하고 동일 음성 여죄 추적…채팅 기능도
김준태
입력 : 2025.08.03 07:55:02
입력 : 2025.08.03 07:55:02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경찰이 '벨루가'라는 보이스피싱 수사 지원 인공지능(AI)을 자체 개발해 이르면 내년 수사 현장에 도입한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가 8천545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AI 도입으로 피싱범 검거 속도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대학교 치안정책연구소는 총 51억원을 들여 보이스피싱 수사지원시스템 'BELUGA'(Barricade of crime and Enforcement of Law Utilizing Generative AI·벨루가) 개발을 지난 6월 완료했다.
벨루가는 현재 효용성·안정성을 자체 검증 중이며 결과에 따라 내년 일선 수사 현장에 순차 배포할 계획이다.
벨루가는 경찰 내 분산된 보이스피싱 신고·수사 정보 등을 학습한 생성형 AI로, 수사 전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계됐다.
가령, 수사관이 수천건의 스팸 신고 중 실제 피싱 미끼 문자를 식별해야 할 경우 현재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야 하지만 벨루가는 문자 내용을 순식간에 분석해 피싱 여부를 판단해준다.
이는 신속한 발신 번호 차단으로 이어져 범죄 확산을 막아준다는 설명이다.
피싱범의 음성 녹취를 벨루가에 넣을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 음성을 추적한다.
등장인물이 여럿이어도 문제없다.
피싱범들의 '스크립트'를 문장 단위로 분석, 유사 문구가 사용된 사건을 자동 탐색해 동일 조직 여부인지도 판단할 수 있다.
개발에 참여한 이정우 경감(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은 "여러 음성을 분석해 같은 범죄자가 벌인 사건을 한 데 묶고 여죄를 밝혀내는 기능은 실제 수사에서 큰 효용이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일반인이 챗GPT에 질문하듯 수사관들이 활용할 수 있는 '벨루가 챗'도 탑재했다.
내부 실험에서는 보이스피싱 분야에 대해 GPT-4보다 정확도가 우수했다고 한다.
개발자 김희두 경감(서울 마포경찰서)은 "경찰 비공개 데이터로 학습한 덕에 한국어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나 미끼 문자 분류에 뛰어나다"고 했다.
개발 과정에 보이스피싱을 수사하는 일선 경찰들이 자문에 참여하며 현장 목소리가 반영됐다.
자문단을 대상으로 한 시연회에선 100점 만점에 93.8점이라는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김 경감은 "보이스피싱 수사 현장의 업무량이 과도한 것이 사실"이라며 "벨루가가 도입돼 더 빨리 데이터를 분석하고, 더 빨리 피싱 번호를 차단하고, 더 빨리 범인을 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찰대 치안정책연구소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readiness@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강원도, 의료 AI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오프라인 교육
-
2
무보, LG화학 美 양극재 공장 건설에 10억달러 보증 지원
-
3
코스피 안 무너진다는 진성준…“어떤 바보가 국장하겠나” 청원은 8만명 넘었다
-
4
강원대, 대학기술경영촉진사업 선정…"실험실 기술, 창업으로"
-
5
크라운해태, '국악 영재 발굴' 경연대회 개최
-
6
전기차충전기 이행강제금 코앞인데…경기 학교 설치율 13% 불과
-
7
송전망 짓느라 진땀빼는 한전…지역주민 건강검진까지
-
8
AI·HVAC 기술 집약한 LG 스마트코티지…소비자 관심↑
-
9
부산 해경, 45인승 요트에 59명 태우고 운항한 요트 적발
-
10
대미투자펀드 시동?…무보, LG화학 美공장 건설에 10억달러 보증(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