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8.03 11:05:54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유전자 치료제/분석, mRNA(메신저 리보핵산), 마이크로바이옴, 모더나(MODERNA), 치매, 제대혈,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제약업체, 줄기세포, 마스크,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화학섬유, 의료기기, 화이자(PFIZER) 등... |
약세 테마 | 희귀금속(희토류 등), AI 챗봇(챗GPT 등), 페라이트, LED장비, 전자파,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핵융합에너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전력설비, 원자력발전,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전선, 음성인식, 리비안(RIVIAN), 반도체 장비, 철도, 조선기자재,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반도체 관련주 | 美 반도체주 급락 영향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국가신용등급 강등 충격으로 3대 지주가 모두 하락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 가까이 급락.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6.61(-3.80%) 하락한 3,711.60를 기록. AMD 3분기 매출액 전망치 실망감 및 퀄컴 실적 부진 등이 악재 로 작용. AMD는 지난 1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발표에서 2분기 매출은 53억6,000만달러로 1년 전의 65억5,000만달러에서 감소했고, 매출총이익률은 1년 전의 54%에서 50%로 줄었다고 밝힘. 3분기 매출액 가이던스는 54억~60억달러로 제시, 이는 중간값이 57억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 58억2,000만달러를 밑도는 것임. ▷퀄컴은 2일(현지시간) 장 마감 후 회계연도 3분기(4~6월) 순이익이 18억달러, 주당 1.6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힘. 전년동기 37억3,000만달러, 주당 3.29달러에 비해 절반 이상 줄어든 것이며,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87달러로 전년동기 2.96달러에 비해 36.8% 감소. 7~9월 분기 실적 가이던스는 1.8~2달러의 EPS와 81억~89억달러의 매출액을 제시했으며, EPS 가이던스의 중간값은 1.9달러로 제시. 매출액 가이던스 중간값은 85억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인 1.92달러의 EPS와 87억4,000만달러의 매출액을 모두 하회했음. ▷이와 관련 DB하이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동운아나텍, 오킨스전자, 가온칩스, 한미반도체, 레이저쎌, 유니테스트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 |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 | 게임주 2분기 실적 부진 전망 및 신작 효과 제한적 분석 등에 하락 |
▷전일 카카오게임즈는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710.92억원(전년동기대비 -19.98%), 영업이익 264.78억원(전년동기대비 -67.32%), 순이익 86.74억원(전년동기대비 -86.44%). 지난해 대만 시장에 출시한 '오딘' 매출의 역기저 효과 등이 실적 악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음. ▷업계에 따르면,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엔씨소프트, 넷마블, 크래프톤 등도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3사(엔씨소프트, 넷마블, 크래프톤)의 올해 2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74% 가량 줄어든 1,443억 수준으로 예상. 아울러 최근 넷마블과 카카오게임즈 등 일부 게임사가 신작을 출시하면서 주가가 반등하기도 했지만, 반짝 효과에 그칠 것으로 전망. 이는 실적을 끌어올릴 새 캐시 카우가 없고, 그나마 새로 내놓은 게임도 사용자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음. ▷한편, 컴투스는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283.08억원(전년동기대비 +18.07%), 영업손실 56.09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204.08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 컴투스홀딩스는 23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 액 323.17억원(전년동기대비 +11.99%), 영업손실 124.10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165.07억원(전년동기대비 적자지속). ▷이 같은 소식에 넥슨게임즈, 컴투스, 조이시티, 액션스퀘어, 썸에이지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하락. | |
코로나19 관련주 | 코로나19 재확산세 지속 등에 상승 |
▷방역 당국에 따르면,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5주 연속 증가세를 보이면서 8월 중순엔 확진자가 하루 평균 6만명, 하루 최대 7만6,000명쯤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일 “7월 넷째 주(7월23~30일) 코로나 신규 확진자는 총 31만3,906명으로, 하루 평균 4만4,844명꼴로 확진자가 나왔다”고 밝힘. 이어 “직전 주보다 23.7% 증가했고, 5주 연속 증가세”라고 언급. 7월26일에는 확진자가 5만7,220명까지 치솟았으며, 특히, 지난주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는 13명으로 일주일 만에 72.5% 증가했고, 위중증 환자도 170명으로 전주 대비 19.7% 늘었음. ▷이에 중앙방역 대책본부는 “이 추세대로라면 이달 중순 확진자 규모는 일평균 약 6만명, 하루 최대 7만6000명 정도에 이를 것”이라면서도 “코로나 환자 중 사망자 비율을 뜻하는 치명률은 0.02~0.04% 정도로 작년 12월의 절반 수준이 될 전망”이라고 밝힘. 이어 “확진자가 증가하는 지금 다중 이용 시설과 대중교통 등 다수가 밀접한 공간에서는 다시 마스크를 자율적으로 착용해 주실 것을 권고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나노브릭, 지노믹트리, 에스디바이오센서, 현대바이오, 인트론바이오, 휴마시스, 씨젠 등 코로나19 관련주가 상승.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DB하이텍 | 38,150 | 50 | -0.13%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