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공제 혜택은 좋지만 소장펀드 수익률은 '암울'

차창희 기자(charming91@mk.co.kr)

입력 : 2023.01.29 16:58:26




서민들을 위한 절세용 상품으로 주목받았던 소득공제 장기투자 펀드(소장펀드)에서 자금이 지속해서 빠져나가고 있다. 장기 수익률이 일반 주식·채권형 펀드 대비 부진하기 때문이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소장펀드 수익률은 -11.11%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0.67%), 혼합형 펀드(6.92%), 채권형 펀드(7.34%) 대비 크게 부진한 수치다. 총 45개 펀드 테마 유형 가운데 소장펀드 순위는 수익률 기준으로 42위였다. 코스피의 5년 수익률이 0.4% 정도인데 소장펀드가 시장 평균치에 크게 못 미치는 장기 수익률을 보인 셈이다.

소장펀드는 연봉이 5000만원 이하인 투자자들이 연간 40%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볼 수 있는 투자 상품이다. 최대 납입 한도는 매년 600만원으로 최대치로 납부할 때 공제 혜택 규모는 240만원이다.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은 연말정산 시 세금 16.5%에 해당하는 39만6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어 서민을 위한 대표적인 절세 상품으로 인기를 끌었다.

증권업계에서는 소장펀드에 대형·가치주보다 중·소형 종목이 다수 포함돼 있는 게 장기 수익률 부진을 나타낸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국내 A소장펀드의 포트폴리오 구성을 살펴보면 올해 1월 기준 중·소형 종목 비중이 43.9%로 절반가량에 달했다.

소장펀드에 대한 공제 혜택은 펀드 가입 후 10년까지 주어진다. 소장펀드 가입기간은 2014년 3월부터 2015년 말까지로 가입자들은 2024~2025년까지 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여전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간임에도 가입자들은 단순 지수 추종 상품 대비 부진한 수익률에 첫 환매가 가능해진 2019년 이후 자금을 지속적으로 빼는 모습이다.

지난 3년 동안 소장펀드에서는 자금 1660억원이 유출됐으며, 올해도 20억원이 빠져나갔다. 1조원을 넘어섰던 소장펀드 설정액은 현재 8200억원 수준에 머물고 있다.

[차창희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5 19:4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