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공제 혜택은 좋지만 소장펀드 수익률은 '암울'
차창희 기자(charming91@mk.co.kr)
입력 : 2023.01.29 16:58:26
입력 : 2023.01.29 16:58:26
서민들을 위한 절세용 상품으로 주목받았던 소득공제 장기투자 펀드(소장펀드)에서 자금이 지속해서 빠져나가고 있다. 장기 수익률이 일반 주식·채권형 펀드 대비 부진하기 때문이다.
2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소장펀드 수익률은 -11.11%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0.67%), 혼합형 펀드(6.92%), 채권형 펀드(7.34%) 대비 크게 부진한 수치다. 총 45개 펀드 테마 유형 가운데 소장펀드 순위는 수익률 기준으로 42위였다. 코스피의 5년 수익률이 0.4% 정도인데 소장펀드가 시장 평균치에 크게 못 미치는 장기 수익률을 보인 셈이다.
소장펀드는 연봉이 5000만원 이하인 투자자들이 연간 40%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볼 수 있는 투자 상품이다. 최대 납입 한도는 매년 600만원으로 최대치로 납부할 때 공제 혜택 규모는 240만원이다.
이렇게 되면 투자자들은 연말정산 시 세금 16.5%에 해당하는 39만6000원을 환급받을 수 있어 서민을 위한 대표적인 절세 상품으로 인기를 끌었다.
증권업계에서는 소장펀드에 대형·가치주보다 중·소형 종목이 다수 포함돼 있는 게 장기 수익률 부진을 나타낸 원인이라는 설명이다. 국내 A소장펀드의 포트폴리오 구성을 살펴보면 올해 1월 기준 중·소형 종목 비중이 43.9%로 절반가량에 달했다.
소장펀드에 대한 공제 혜택은 펀드 가입 후 10년까지 주어진다. 소장펀드 가입기간은 2014년 3월부터 2015년 말까지로 가입자들은 2024~2025년까지 공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여전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간임에도 가입자들은 단순 지수 추종 상품 대비 부진한 수익률에 첫 환매가 가능해진 2019년 이후 자금을 지속적으로 빼는 모습이다.
지난 3년 동안 소장펀드에서는 자금 1660억원이 유출됐으며, 올해도 20억원이 빠져나갔다. 1조원을 넘어섰던 소장펀드 설정액은 현재 8200억원 수준에 머물고 있다.
[차창희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츠로시스, 공시변경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
2
라파스, 19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3
끝 모를 경기 침체에 천정부지 물가까지…‘S공포’ 신호 왔다
-
4
주식대차거래 잔고감소 상위종목(코스닥)
-
5
주식대차거래 잔고감소 상위종목(코스피)
-
6
“김치프리미엄 덕에 공짜로 10% 먹었다”…놀이터로 전락한 K 코인판
-
7
고려아연, 보통주 6,324주(50.52억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
8
[단독] “지금이 차익 먹을 기회”…김치 프리미엄에 ‘이 코인’ 거래 사상 최대
-
9
위닉스, 공시불이행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결정시한:2025-02-28)
-
10
애닉, 73.04억원 규모 공급계약(콘서트 기획, 제작 용역 제공 계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