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의존은 한계 … SMR 활용 앞당기고 송배전망 확대해야"

이진한 기자(mystic2j@mk.co.kr)

입력 : 2023.09.17 17:45:10 I 수정 : 2023.09.17 23:21:49
'에너지대책' 전문가 진단
태양광 등 날씨영향 많이 받아
대형 에너지 저장장치 필요해
한전 재정악화 부작용 우려 커




◆ 전력이 국력이다 ◆

전력 확보에 국가 명운이 달린 시대가 도래하면서 전문가들은 기존 전력 수요 예측을 수정하고 보다 적극적인 전력 수급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신규 원전을 추가 확보하는 것은 물론 기존 원전을 계속 운전하고 액화천연가스(LNG)·석탄 등 화석에너지 발전설비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반도체, 2차전지,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가 큰 산업단지의 수요를 감안해 선제적인 송배전망 투자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형모듈원전(SMR) 도입을 앞당겨 하루빨리 에너지 분산화를 실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분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던 유승훈 서울과기대 창의융합대학 학장은 "정부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비롯해 석유화학, 2차전지 등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를 공식화하면서 전력 수요는 기존보다 예측량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향후 전력 수급 정책의 핵심으로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꼽았다. 365일 24시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적인 반도체 공장을 비롯해 첨단산업 발전 속도를 높이려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증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유 교수는 "맑은 날이 많았던 올여름 태양광발전이 높은 효율을 보이며 전력 공급망에서 유의미한 역할을 한 점은 분명하다"면서도 "봄가을마다 일상화되는 출력 제어 문제는 대형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보와 송배전망 개선 등을 달성하기 전까지 전력계통에 위험 요소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관련 설비를 확충할 한국전력 등의 재정 상태가 악화한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추가한다면 부작용만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도 "지금 필요한 정책은 재생에너지 설비 확대를 멈추고 에너지 믹스를 안정화하는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발전이 호남과 제주도에 밀집한 상태에서 편중된 에너지 공급·소비 구조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면 문제는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석탄발전소 가동 확대와 LNG 발전 추가 증설은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으로 꼽혔다.

유 교수는 "석탄과 가스 발전은 낮은 단위의 발전용량 출력 조절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전력계통 구성에 큰 장점이 있다"며 "LNG는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민간 점유율을 높이면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손 교수도 "에너지 정책에서 중요한 것은 운영의 안정성"이라며 "친환경 기조에 석탄이나 천연가스 사용이 과도하게 줄어들었는데 필요한 만큼은 사용 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발전소를 어디에 얼마나 건설할지와 함께 생산한 전기를 적재적소에 어떻게 보낼 수 있을 것인지, 그에 대한 비용을 어떻게 소비자와 생산자가 공정하게 부담할 것인지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조언도 뒤따랐다. '전기 먹는 하마'로 여겨지는 데이터센터의 수도권 과밀화를 분산하기 위해 지방으로 이전하는 방안 등이 대표적이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산업단지 전력화 설비의 지리적인 매칭을 통해 발전시설과 수요의 일치성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송배전망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진한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6 14:5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