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고질병으로 떠오른 전산장애…운용비 증액에도 '골머리'
조문경
입력 : 2023.02.03 14:42:05
입력 : 2023.02.03 14:42:05
【 앵커멘트 】
증권사들이 전산운용비 투입을 계속해서 늘리고 있지만, 크고 작은 전산장애는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전산 민원 건수도 줄지 않고 있어 증권사들이 골머리를 앓는 모습입니다.
이에 운용비 투입을 전산시스템이 오류가 완전히 없어질 수 있는 수준까지 늘려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조문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해 3분기까지 전산운용비를 대폭 늘린 증권업계.
자기자본 상위 10개 증권사들의 전산운용비는 이 기간 3천5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습니다.
반면, 이 기간 해당 증권사들의 전산 관련 민원은 813건으로 전년(579건) 대비 40% 늘었습니다.
이렇게 전산운용비를 늘려도 전산 관련 문제는 계속되고 있어 증권사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모양샙니다.
전산 민원 뿐 아니라 전산 사고 역시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전산 오류로 인해 팔린 주식이 또 매도되는 중복 매도 사태가 발생했고, 앞서 한국투자증권 역시 지난해 8월쯤 전산 오류로 HTS와 MTS가 먹통이 된 바 있습니다.
이 밖에 지난해 역대급 IPO 대어였던 LG엔솔의 공모 당시에도 투자자들이 한 번에 몰리며 전산 오류와 관련 민원이 증권업계에 빗발쳤습니다.
전문가들은 운용비를 늘려도 장애가 계속된다면, 운용비 수준을 더욱 늘려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 홍기훈 / 홍익대 경영대학 교수
- "돈을 많이 쓰는 게 되게 중요해요. 특히나 전산은 인풋 대비 아웃풋이 거의 일대일이에요. 돈을 쓰는 대로 시스템이 나아지거든요. 그래서 전산은 돈을 많이 써야 합니다.
민원이 많은 증권사는 돈을 안 쓴다는 얘기 밖에는…시스템 관리는 돈이 다에요. "
실제로 지난해 3분기까지 전산 민원이 가장 많았던 증권사는 대신증권으로 KB, 신한, 하나, NH가 뒤를 이었는데,
운용비 투입 수준이 모두 100억~300억 원대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먹통 사고가 있었던 한국투자증권 역시 투입 비용이 300억 원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민원건수가 없었던 키움과 민원건수가 두 건에 불과했던 삼성증권의 전산운용비는 모두 678억, 650억 원으로 600억 원이 넘었습니다.
운용비 투입을 늘렸음에도 전산장애가 계속되는 증권사들은 비용 투입 규모를 더욱 높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매일경제TV 조문경입니다.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증권사들이 전산운용비 투입을 계속해서 늘리고 있지만, 크고 작은 전산장애는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
전산 민원 건수도 줄지 않고 있어 증권사들이 골머리를 앓는 모습입니다.
이에 운용비 투입을 전산시스템이 오류가 완전히 없어질 수 있는 수준까지 늘려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조문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해 3분기까지 전산운용비를 대폭 늘린 증권업계.
자기자본 상위 10개 증권사들의 전산운용비는 이 기간 3천5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습니다.
반면, 이 기간 해당 증권사들의 전산 관련 민원은 813건으로 전년(579건) 대비 40% 늘었습니다.
이렇게 전산운용비를 늘려도 전산 관련 문제는 계속되고 있어 증권사들의 시름이 깊어지는 모양샙니다.
전산 민원 뿐 아니라 전산 사고 역시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최근 미래에셋증권은 전산 오류로 인해 팔린 주식이 또 매도되는 중복 매도 사태가 발생했고, 앞서 한국투자증권 역시 지난해 8월쯤 전산 오류로 HTS와 MTS가 먹통이 된 바 있습니다.
이 밖에 지난해 역대급 IPO 대어였던 LG엔솔의 공모 당시에도 투자자들이 한 번에 몰리며 전산 오류와 관련 민원이 증권업계에 빗발쳤습니다.
전문가들은 운용비를 늘려도 장애가 계속된다면, 운용비 수준을 더욱 늘려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인터뷰(☎) : 홍기훈 / 홍익대 경영대학 교수
- "돈을 많이 쓰는 게 되게 중요해요. 특히나 전산은 인풋 대비 아웃풋이 거의 일대일이에요. 돈을 쓰는 대로 시스템이 나아지거든요. 그래서 전산은 돈을 많이 써야 합니다.
민원이 많은 증권사는 돈을 안 쓴다는 얘기 밖에는…시스템 관리는 돈이 다에요. "
실제로 지난해 3분기까지 전산 민원이 가장 많았던 증권사는 대신증권으로 KB, 신한, 하나, NH가 뒤를 이었는데,
운용비 투입 수준이 모두 100억~300억 원대를 기록했습니다.
앞서 먹통 사고가 있었던 한국투자증권 역시 투입 비용이 300억 원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민원건수가 없었던 키움과 민원건수가 두 건에 불과했던 삼성증권의 전산운용비는 모두 678억, 650억 원으로 600억 원이 넘었습니다.
운용비 투입을 늘렸음에도 전산장애가 계속되는 증권사들은 비용 투입 규모를 더욱 높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매일경제TV 조문경입니다.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AI 시대인데 많이 올랐어도 믿어야”…‘이 업종’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는
-
2
"폭염, 우유 생산량 최대 10% 감소시켜…냉각장치 효과 제한적"
-
3
주유소 기름값 3주 연속 상승…"다음 주부터 하락 전망"
-
4
[부동산캘린더] 내주 전국 8천845가구 분양…전주보다 2천370가구↑
-
5
올트먼 오픈AI CEO, 민주당 비판하며 "소속감 느끼는 정당 없어"
-
6
“원전 뜬다고 특정기업 몰빵했다간”…위험 분산·세혜택 챙기려면 ETF
-
7
강원 낮 최고 35도 무더위…내륙·산지 흐리고 빗방울
-
8
무한 경쟁에 공공성 약화한 TV홈쇼핑…"블랙아웃 가능성 여전"
-
9
“외국인 韓부동산 사려면 자기자본 절반·국내 체류 1년 이상”…野, 개정안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