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티브’에 꽂힌 투자자···액티브 ETF 순자산 30조·점유율 30% 돌파

김태성 기자(kts@mk.co.kr)

입력 : 2023.11.29 15:23:17
2017년 상장 후 6년만···종목도 176개로 늘어
추종지수 대비 초과수익 좇는 투자수요 몰린 결과
KODEX K-로봇 액티브 1년 수익률 %
같은 기간 기초지수 상승률 2배 수준


지난 2017년 국내 증시에 등장한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 6년만에 순자산 규모 30조원을 넘어섰다. 전체 ETF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0%를 차지했다. 불안한 시장 상황에서도 추종지수를 넘어서는 수익률을 기대하는 공격적인 투자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준 국내 상장 액티브 ETF의 순자산총액(AUM)은 36조6607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초(1월2일) 12조4432억원으로 시작해 6월1일 20조8138억원으로 20조원의 벽을 넘은데 이어 다시 반년도 안돼 30조원을 돌파한 것이다. 올초부터 지난 28일까지 늘어난 액티브 ETF 순자산 규모는 24조2174억원으로 같은 기간 전체 ETF 순자산 증가분(39조7813억원)의 60.8%를 차지해 ETF 시장 전반의 성장세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ETF 전체 시장에서 액티브 ETF의 점유율은 연초 15.7%에서 이날 30.8%로 두배 수준으로 커졌다.

연초 108개였던 액티브 ETF 종목수도 이날 176개로 68개 늘었다. 이는 올해 출시된 전체 ETF 143종 중 47%에 달한다.

순자산이 가장 큰 액티브 ETF는 지난 6월 상장한 KODEX CD금리액티브(합성)으로 28일 기준 순자산 5조857억원을 기록했다. 상장 5개월만에 5조원을 넘은 것은 이 종목이 최초다.

2위를 차지한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는 4조8713억원, 세번째로 많은 KODEX KOFR금리액티브(합성)는 4조6546억원으로 집계됐다. 종목을 포함해 액티브 ETF는 전체 ETF 순자산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4개나 이름을 올렸다.

수익률도 견고하다. 국내 로봇산업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KODEX K-로봇 액티브는 최근 한달새 20.32%, KBSTAR 비메모리반도체액티브는 16.88%를 기록했다.

KBSTAR 비메모리반도체액티브는 1년 기준 수익률이 50.20%로 전체 액티브 ETF 중 가장 높았다. 이를 포함해 최근 한 달 기준 수익률 상위 10종의 액티브 ETF는 일부 채권형을 제외하면 혁신 및 첨단기술(로봇, 반도체 등) 관련주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주를 이뤘다.

액티브 ETF의 인기는 펀드 투자 시장이 ETF 중심으로 돌아선 가운데 단순히 지수 수준의 수익률이 아닌 그 이상을 원하는 투자 수요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비교지수를 90% 이상 따라야 하는 패시브형과 달리 액티브 ETF는 70%만 지수를 추종하고 나머지는 펀드매니저가 재량으로 운영할 수 있다.

실제 주요 액티브 ETF는 추종지수보다 더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다. KODEX K-로봇 액티브의 최근 1개월 수익률(20.32%)는 기초지수인 iSelect K-로봇테마 지수 상승률(17%)를 뛰어넘었다. 1년 단위로 보면 수익률은 각각 44.3%, 22.8%로 차이가 더 벌어진다.

지난 10월 상장한 TIGER 글로벌AI 액티브도 최근 1달 수익률이 12.21%로 기초지수 IAIQ IDNEX(KRW)의 11.27%를 상회하며 순항 중이다. 정한섭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리서치팀 수석매니저는 “초기 단계인 산업일수록 변화가 빠르기 때문에 수익산업의 변화를 민감하게 포트폴리오에 적용할 수 있는 액티브 ETF가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거래소가 추진 중인 액티브 ETF 상관계수를 완화하는 규제가 향후 도입되면 시장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상관계수는 해당 ETF가 기초지수와 얼마나 비슷하게 움직이는지 보여주는 수치로 액티브 ETF는 0.7, 패시브 ETF는 0.9다.

알서 거래소는 운용사들이 초과수익을 더욱 추구하는데 지장이 되지 않도록 액티브 ETF 상관계수를 0.7 이하로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규제가 완화되면 지금보다 더 차별화된 상품 출시가 가능한 만큼 투자수요가 더 모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재욱 삼성자산운용 ETF운용3팀장은 “액티브 ETF는 운용사와 매니저의 기업 분석 및 선별 역량이 매우 주요하게 작용하는 상품”이라며 “꾸준한 성과와 트랙 레코드가 있는 상품들을 중심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5 20:3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