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고수들에게 물어봤다 ··· 내년 ETF는 OOO 에 주목!

김태성 기자(kts@mk.co.kr)

입력 : 2023.12.04 15:19:51 I 수정 : 2023.12.04 15:27:59
8대 자산운용사 ETF본부장 설문조사


국내 주요 자산운용사 전문가들이 내년 상장지수펀드(ETF) 유망 투자 대상으로 지역으로 미국과 인도를 섹터로는 반도체와 채권을 꼽았다.

매일경제신문이 삼성·미래에셋·KB·한국투자신탁·한화·키움·신한·NH자산운용 등 주요 운용사 8곳 ETF본부장을 대상으로 내년에 ETF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지역과 분야를 설문조사한 결과다.

올해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 규모가 120조원을 넘어설 정도로 성장하면서 확고한 투자수단으로 자리매김한 가운데 나온 내년 운용사들의 투자 전망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우선 내년도 시장에서 집중해야 할 유망 지역으로는 8명 모두 미국을 꼽았고 5명이 인도, 3명은 각각 한국과 일본, 1명은 베트남과 멕시코를 선택했다.

미국과 인도를 고른 이경준 미래에셋자산운용 전략ETF운용본부장은 “미국경제는 강력한 경제성장 모멘텀과 인공지능(AI) 산업 혁신을 주도하면서 이제 새로운 성장 국면으로 진입 중”이라며 “특히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성형 AI비서 코파일럿, 오픈AI의 챗GPT로 대표되는 AI 개인화는 강력한 성장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도를 선택한 김현빈 NH아문디자산운용 ETF투자본부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수혜와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구조적인 내수소비 성장이 예상된다”며 “테슬라 등 전기차 관련 생산시설 유치를 위해 관세 인하를 고려하는 등 향후 규제 완화에 따라 글로벌 직접투자 유입 역시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산업본부장은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 중앙은행의 초금융 완화 정책, 통화 약세 혜택과 함께 경제 블록화에 탈중국에 나선 기업들의 투자가 몰리는 효과로 인해 상대적인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미 연준 금리인상 종료와 일본은행 금융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 미·일 금리차가 축소되고 완만한 엔고 방향으로 전환돼 엔화 강세에 따른 환차익도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VIM(베트남·인도·멕시코)로 대표되는 신흥국에 주목해야 한다고 답한 남용수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운용본부장은 “(내년) 하반기 금리인하가 본격화되면 주요 이머징 국가로 경기개선 낙수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VIM 국가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망한 ETF 투자 섹터로 가장 많이 언급된 반도체와 관련해 김도형 삼성자산운용 ETF컨설팅본부장은 “폭발적인 AI서버와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확대, 미국 빅테크를 포함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캐파 증설이 예상된다”며 “내년 반도체 업황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는 만큼 미국과 더불어 국내 관련 기업과 HBM 관련 핵심장비주 수혜도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도 “AI라는 거대한 전방산업의 출현으로 한국 반도체 위상이 재평가되면서 반도체 소부장 기업의 성장이 주목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자금이 몰린 채권형 ETF 역시 내년에도 핵심 투자 소재로 꼽혔다. 금정섭 KB자산운용 ETF마케팅본부장은 “금리와 통화관련 방향성 전환에 대한 기대감을 바탕으로 어떠한 시장 환경에서도 성과를 추구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의 채권형 ETF에 대한 관심 확대가 예상된다”며 “초단기물과 장기물에 동시에 투자하는 바벨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인컴(고정수익) 뿐 아니라 금리 하락에 따른 자본차익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자산운용사들은 이 같은 분석 아래 내년에도 관련 ETF를 추가로 출시하며 시장경쟁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은 내년에 올해와 비슷한 최대 28개의 ETF를 신규상장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경준 미래에셋 본부장은 “다양한 자산과 전략을 활용한 월배당ETF 라인업을 지속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성인 키움투자자산운용 ETF마케팅사업본부장은 “미국 중심으로 해외주식형 상품에 대한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이고 개인투자자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장기성장테마 상품 출시도 동시에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5 20:5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