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운용, 일본 반도체 소부장 ETF, 3개월 수익률 1위
최아영 매경닷컴 기자(cay@mk.co.kr)
입력 : 2023.12.07 10:02:50
입력 : 2023.12.07 10:02:50

한화자산운용은 ‘ARIRANG 일본반도체소부장Solactive ETF’가 국내 반도체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중 최근 3개월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한화자산운용에 따르면 이 상품은 지난 1일 기준 최근 3개월간 8.18% 상승했다.
이같은 상승세는 한동안 약세를 보이던 메모리반도체 산업의 업황이 회복 국면으로 전환되며 일본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역시 수혜를 입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ETF의 주요 구성 종목인 도일렉트론의 최근 3개월간 주가는 11.27% 올랐고, 신에츠화학, 디스코 역시 각각 11.93%, 12.66% 상승했다.
지난 8월 31일 국내 최초로 상장한 ‘ARIRANG 일본반도체소부장Solactive ETF’는 일본 도쿄 증권 거래소에 상장돼 있는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업체 관련 대표 기업 20종목에 투자한다.
주요 구성 종목(비중)은 도쿄일렉트론(20.47%), 신에츠화학(20.39%), 호야(15.83%), 아드반테스트(9.41%), 디스코(7.84%), 레이저테크(7.10%) 등이다. 기초지수는 ‘Solactive Japan Semiconductor Materials and Equipment Index’이며, 총 보수는 연 0.50%다.
‘ARIRANG 일본반도체소부장Solactive ETF’는 향후 엔화 가치가 오르면 투자자가 환차익을 누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 환노출형 ETF다. 거래단위가 100주 이상으로 높아 접근성이 떨어지는 일본 주식시장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은 전통적으로 반도체 소부장 영역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과 기술 독점력을 보유하고 있다. 아울러 미중 갈등과 대만 유사 등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른 전략적 요새다.
일본 정부의 강력한 인센티브 정책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TSMC, 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현지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본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의 직납 가능성 높아지면서 향후 관련 기업들의 성장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산업본부장은 “일본은 상대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 일본은행의 초금융 완화 정책 등으로 인해 전세계 투자가 몰리고 있다”며 “일본이 높은 기술력으로 반도체 소부장 분야에서 글로벌 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향후 엔화 절상 시 환차익도 동시에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일본 반도체 산업 투자는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