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S23 나온 거 맞나…낮아진 기대치에 잠잠한 부품주들
고득관 매경닷컴 기자(kdk@mk.co.kr)
입력 : 2023.02.07 15:53:12
입력 : 2023.02.07 15:53:12
삼성전자의 새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3이 공개됐지만 갤럭시 부품주들은 차분한 주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침체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신작 갤럭시S23이 전작과 큰 차이가 없다는 무난한 평가가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7일 증권가에 따르면 대표적인 부품주인 삼성전기는 지난달 말 14만2700원에서 이날 14만5800원까지 2.17% 오르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 1.10%와 별반 차이가 없는 숫자다.
삼성전기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카메라 모듈을 납품하고 있어 대표적인 갤럭시 부품주로 꼽히는 회사다.
지난 1일(현지시간) 삼성전자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갤럭시 언팩 2023’ 행사를 열고 일반 모델인 갤럭시 S23와 고급 모델인 S23+(플러스), 최고급 모델인 울트라 등 3종을 공개했다. 대표적인 갤럭시 부품주인 삼성전기 주가는 신작 공개 직전일인 지난 1일 1.19%, 공개 당일인 지난 2일 3.39% 정도 올랐다가 3일 -0.27%, 4일 -1.95%, 이날 0.14% 하락하는 등 비교적 차분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른 갤럭시 부품주들의 주가 상황도 비슷하다. 삼성전기와 마찬가지로 전면 또는 후면 카메라모듈을 납품하는 엠씨넥스(0.33%), 파트론(0.46%), 파워로직스(4.00%),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사인 인터플렉스(7.48%) 등도 이달 들어 주가가 큰 변동이 없다.
갤럭시 부품주 가운데 두자릿수 정도의 주가 상승률을 보인 곳은 카메라모듈 공급사 나무가(19.63%), 연성회로기판(FPCB) 공급사 비에이치(10.00%), 무선충전 모듈 공급사 켐트로닉스(10.94%) 정도 밖에 없다.
신작 갤럭시S23이 공개됐음에도 갤럭시 부품주들의 주가 반응이 신통치 않은 것은 갤럭시S23 판매량에 대한 기대치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전작인 갤럭시S22의 누적 판매량은 2380만대 가량으로 전해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갤럭시S23의 판매량이 2500만대 수준으로, 전작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침체 여파로 IT 기기 수요에 대한 우려가 큰 데다 전작에 비해 카메라 성능이 다소 업그레이드된 점을 제외하면 특별히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할 만한 혁신은 없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가격도 기존 모델에 비해 15만원씩 인상됐다.
고의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공급망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이번 시리즈 생산 계획은 3000만대 내외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어려운 경기와 가격 인상을 감안하면 도전적인 목표일 수 있다”라며 “갤럭시S20 시리즈 이후 연간 판매량이 2500만대 내외로 고착화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철희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북미, 유럽 등 주력 시장의 스마트폰 업황이 여전히 부진하고 가격 인상은 물론 중화권 회사들과의 가성비 경쟁도 치열한 상황”이라며 “올해도 삼성전자 스마트폰 서플라이 체인의 의미 있는 실적 개선은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사 관련 종목
02.06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비트코인 안 샀지만 이 주식은 살 걸”…9개월 새 주가 1700% 뛰었다는데
-
2
아모레G, 보통주 1주당 330원, 종류주 1주당 335원 현금배당 결정
-
3
주식대차거래 잔고감소 상위종목(코스닥)
-
4
[단독] “골프용품 회사 몸값 얼마나 나갈까”…테일러메이드, 4년만에 M&A 매물로
-
5
아모레G, 보통주 3,000,000주, 소각 결정
-
6
주식대차거래 상환 상위종목(코스닥)
-
7
주식대차거래 잔고증가 상위종목(코스닥)
-
8
주식대차거래 잔고감소 상위종목(코스피)
-
9
HL D&I, 24년4분기 연결 영업이익 151.49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하회
-
10
엣지파운드리, 6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