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12.27 14:42:09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리튬, HBM(고대역폭메모리), AI 챗봇(챗GPT 등), 면역항암제, 국내 상장 중국기업, HBM(고대역폭메모리), 인터넷 대표주, LED, 미용기기, LED장비, 유전자 치료제/분석,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반도체 장비, 갤럭시 부품주,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3D 낸드(NAND) 등...
약세 테마폐기물처리, 통신, 편의점, 홈쇼핑, 타이어, 윤활유, 백화점, 비료, 정유, 건설 대표주, LPG(액화석유가스), 밥솥, 요소수, 생명보험, 페인트, 도시가스, UAM(도심항공모빌리티), 日제품 불매운동(수혜), 렌터카,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건설 중소형, 모듈러주택,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아스콘, 제지, 시멘트/레미콘, 골판지 제조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中 게임 규제, 과도한 우려 분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신한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 국가신문출판국(NPPA)이 12월22일 온라인게임 관련 규제 초안을 발표하면서 중국 주요 개발사인 텐센트와 넷이즈의 주가는 각각 -13.5%, -26.8% 하락했다고 밝힘. 이번 규제 초안에는 일일 로그인 보상, 최초 충전 보너스, 연속 충전 보상 등 과금 유도 상품 제한, 투기 및 경매 형태의 게임 아이템 유저간 거래 금지, 법정통화 환전 금지, 과한 소비에 대한 경고 팝업을 통한 고지, 유저간 강제 전투 금지 등이 포함되었다고 밝힘.

▷다만, 규제 초안을 발표한 22일에는 외자판호 40건, 25일에는 105건의 내자판호가 발급되었는데, 수년 내 최다 수준의 내자판호 발급을 고려했을때 게임 콘텐츠나 산업 자체에 대한 비관적 태도를 가진 행보는 아니라고 판단된다고 밝힘. 이어 텐센트나 넷이즈 규모부터 중소형 개발사 신작이 신규 판호에 다수 포함되 었다는 것은 결국 근 3년간 어려워진 중국 게임 업계를 다시 진흥하고자 하는 의도로 보이며, 또 이례적으로 규제 초안에 대한 우려에 국가신문출판국 측이 업계 의견을 수렴해 수정하겠다는 공지를 빠르게 올린 것도 과한 우려를 잠재우기 위함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확률형 아이템 자체를 모든 게임에서 금지한 것이 아니고, 최근 출시되는 게임들이나 과거 3~4년간 규제 환경에서 서비스되었던 작품들은 점진적으로 BM의 강도를 낮춰왔다고 밝힘. 따라서 이번 초안의 규제 조항으로 인해 수집형 RPG 장르들의 BM 강도가 기존보다 대폭 하락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판단이며, 과금 강도를 낮추면서도 아이템 다양화를 통해 수익성 훼손을 막을 수 있어보 인다고 밝힘.

▷일부 언론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보다 18억원 증가한 679억원을 내년 게임 분야 예산으로 배정한 것으로 전해짐. 주요 사업은 게임 유통지원(133억원), 게임 상용화 제작 지원(242억원), 게임 기획 지원(50억원)이며, 이 중 중소 게임사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게임유통 지원 사업 예산은 올해보다 60.2% 증가한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스코넥, 크래프톤, 액토즈소프트, 네오리진, 썸에이지, 드래곤플라이드 등 일부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상승. 한편, 스코넥은 오는 28일 가상현실(VR) 일인칭 슈팅게임(FPS) '모탈블리츠'를 VR 앱 마켓 피코(PICO) 스토어에 출시한다고 밝힘.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9 15:30
스코넥 4,515 15 +0.33%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9 17:4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