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4.02.14 14:57:59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초전도체,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NI(네트워크통합),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웹툰, 항공기부품, 리튬, 제4이동통신,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재택근무/스마트워크,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전자파,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보안주(물리), 음원/음반, HBM(고대역폭메모리), 핵융합에너지,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온디바이스 AI, 휴대폰부품, 게임, 증강현실(AR), NFT(대체불가토큰), 2차전지 등... |
약세 테마 | 종합상사, 은행, 렌터카, 생명보험, 조선, 항공/저가 항공사(LCC), 건설 대표주, 마켓컬리(kurly), 반도체 대표주(생산), 손해보험, 편의점, 건설기계, 화학섬유, 자동차 대표주, 석유화학, 줄기세포, 통신, 제대혈, 야놀자(Yanolja), 증권, 철강 중소형, 정유, LNG(액화천연가스), 타이어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반도체 관련주 | 반도체 경기 반등 전망 및 삼성전자 2나노 수주 기대감 등에 상승 |
▷KDI(한국개발연구원)은 금일 2024년 수정 경제 전망을 발표. 올해 실질 GDP를 2.2%로 예상. 반기별로는 상반기 2.3%, 하반기 2.0% 성장을 전망. 수출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회복하며 총수출 증가율이 기존보다 0.9%P 높은 4.7%가 될 것으로 예상. 민간소비는 1.7% 늘어나는 데 그쳐 내수 는 부진할 것으로 전망. ▷업계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회사 퀄컴이 차세대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생산을 위해 삼성 파운드리와 대만 TSMC에 각각 시제품 제작을 의뢰한 것으로 알려짐. 퀄컴은 최신 모바일 AP인 스냅드래곤8 3세대 제품을 TSMC에서 생산하고 있고, 내년 하반기 양산 예정인 4세대 제품도 TSMC 생산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퀄컴이 삼성에도 시제품 제작을 의뢰한 만큼 5세대 제품은 삼성전자의 2나노 공정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짐. 또한,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달 열린 4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2나노 AI 가속기 과제를 수주했다고 밝힌 바 있음. ▷엔비디아, ARM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엔비디아의 시총이 아마존 시총을 제치며 美 시총 4위로 도약한 가운데, 최근 ARM도 호실적 및 긍정적인 향후 매출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급등세를 보인 바 있음.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ARM이 전 세계 IT 기기 칩 70%, 차량용 IC 80%, 스마트 폰 AP 설계의 99%를 점유하고 있어 향후 온디바이스 AI 시장 확대는 ARM 성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이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가온칩스는 향후 ARM 매출 성장의 최대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힘. ▷최근 오픈AI CEO(샘 올트먼)가 엔비디아 GPU 견제를 위해 최대 7조 달러(9,300조원) 자금 조달을 통해 AI 반도체 제조 공장을 직접 설립하겠다고 밝힌 점도 반도체 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지니틱스, 고영, 어보브반도체, 가온칩스, 에이직랜드, 제너셈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특히, 삼성전자 내달 CXL 공개 기대감 속 네오셈, 오킨스전자, 엑시콘 등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테마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한편, SK하이닉스가 오는 20일 국제고체회로학회(ISSCC) 2024 컨퍼런스에서 16단으로 쌓아올린 HBM3E 칩 기술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는 소식도 전해짐. | |
2차전지 등 | 삼성SDI 등 배터리 3사, 배터리 산업 투자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
▷업계에 따르면, 보수적인 투자 기조를 보였던 삼성SDI가 올해부터 공격적인 투자로 전환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배터리 산업 성장세 둔화에도 불구, 그동안 쌓아놓은 현금과 현금창출능력을 바탕으로 대규모 투자에 나서 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으로 올해 삼성SDI의 투자 규모는 전년대비 1.5~2배 정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삼성SDI 말레이시아 사업장에서 "어렵다고 위축되지 말고 담대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주문한 것도 이 같은 전망에 힘을 싣고 있음.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도 올해 배터리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음.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생산시설 투자를 전년과 유사한 규모(약 10조9,000억원)로 계획하고 있으며, 최근 회사채 단일 발행 기준으로 역대 최대인 1조6,000억원의 회사채 발행 규모를 확정했음. LG에너지솔루션은 이 자금을 글로벌 설비 투자에 쓸 계획임. SK이노베이션은 최근 실적 발표회에서 올해 집행이 예정된 설비투자(CAPAX) 금액 9조원 중 7조5,000억원가량을 배터리 사업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한 바 있음.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언론을 통해 호주 리튬 생산 업체인 '웨스파머스 케미컬 에너지 앤드 퍼틸라이저스(WesCEF)'와 리튬 정광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LG에너지솔루션은 WesCEF로부터 올해 1년 동안 리튬 정광 8만5,000톤을 공급받을 예정으로, 이는 수산화리튬 1만1,000톤을 확보할 수 있는 규모임. ▷이 같은 소식 속 에코앤드림, 덕산테코피아, 엠플러스, 켐트로스, 필옵틱스, 엔켐, 미래나노텍, 강원에너지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테마가 상승. | |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 3월 본격적 반등 전망 등에 상승 |
▷전일 대신증권은 리포트를 통해 1월 엔터산업은 음반 판매량 기대치 하회로 부진했지만, 3월부터 본격적 반등을 시작할 것으로 전망. 특히, 현재 주가 부진의 주요한 원인도 1분기 활동 부재로 인한 모멘텀 부족 및 저 PBR관련주로의 순환매 때문이며, 올해는 1분기 활동 횟수 지난해 대비 감소한 모습이나 오히려 긍정적으로 평가. 아울러 지난해 SM인수 사태를 제외하면 4월 세븐틴 앨범부터 반등을 시작했으며, 올해도 비슷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 ▷또한, 공연과 MD 부문의 성장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나 아직 주가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분석. 특히, 지난 4분기 세븐틴(+158%)에 이어 1분기에는 트레저(+33%), NCT127(+63%), 있지(+120%) 모두 모객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엔터 4사 아티스트 전반적으로 높은 모객수 성장이 2024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 MD부문은 공연 부문 MD뿐 아니라 상시MD도 공격적으로 확장되는 모습이며, 특히 하이브, sm은 팝업스토어의 규모 및 상품 종류를 확대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하이브, 큐브엔터, 에스엠, 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테마가 상승. | |
교육/온라인 교육 | 2030년 에듀테크 시장 1,000조 전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교육 패러다임이 빠르게 바뀌면서 전 세계 에듀테크 시장 규모가 이르면 2030년 1,000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 것으로 전해짐. 삼일PwC 경영연구원은 '초개인화 학습의 혁명이 시작된다: 에듀테크'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이번 보고서에서 전 세계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향후 6년간 연평균 성장률 약 15%로 가파르게 성장해 2030년 8,000억달러(약 1,068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음. ▷이 같은 소식 속 메가엠디, 삼성출판사, 이퓨쳐, NE능률 등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가 상승. | |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 북한, 동해상으로 순항미사일 발사 및 LIG넥스원, 군인공제회·IBK캐피탈과 방산혁신 펀드 조성 소식에 상승 |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동해상으로 쏜 순항미사일을 여러 발을 포착했다고 밝힘. 이는 지난 2일 이후 12일 만의 도발 재개로 북한의 올해 열한 번째 이자 순항미사일로는 다섯 번째 무력 도발임. 합참은 "우리 군은 오전 9시쯤 (강원도)원산 동북방 해상에서 미상 순항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으며,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밝힘. 이어 "북한의 추가 징후와 활동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음. ▷LIG넥스원은 언론을 통해 군인공제회, IBK캐피탈과 함께 방산 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힘. 새롭게 조성되는 방산혁신 펀드는 총 800억원 규모이며, 군인공제회가 400억원, LIG넥스원이 150억원, IBK캐피탈이 250억원을 출자할 것으로 전해짐. 이 펀드는 LIG넥스원과 IBK캐피탈이 공동 운용사를 담당하여 AI, 로봇, 무인화 에서 사이버, 항공우주, 반도체, 신소재 등에 이르는 국방·미래 분야의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LIG넥스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SNT다이내믹스,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쎄트렉아이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 |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 尹 대통령, '양육비 국가 선지급' 내달 발표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여성가족부 등 유관 부처와 논의를 거듭한 결과, 여가부의 기존 제도인 '한시적 양육비 긴급지원제도'를 확대·발전하는 방식으로 양육비 국가 선지급제를 실현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음. 윤석열 대통령은 내달 초 열리는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양육비 국가 선지급제 시행 의지를 직접 밝히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라고 전해짐. ▷정부는 지원 기간을 아이가 성년이 될 때까지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긴급지원 양육비를 받는 경우라도 별 도의 양육비 지원 제도인 아동 양육비(20만원)까지 중복 수혜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 중이라고 전해짐. 특히, '선지급제'라는 명칭에 걸맞게 양육비 관련 법원 판결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라도 국가가 양육비를 먼저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아가방컴퍼니, 삼성출판사, 헝셩그룹, 꿈비, 깨끗한나라 등 출산장려정책/엔젤산업 테마가 상승. | |
태양광에너지 | 한국서부발전, UAE서 대규모 태양광발전 사업 수주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한국서부발전은 언론을 통해 UAE 수전력공사가 발주한 ‘UAE 아즈반 1500㎿(메가와트) 태양광발전 사업’에서 프랑스 국영 발전회사의 신재생 발전 자회사인 EDF-R과 함께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힘. 서부발전은 프랑스 국영 발전회사의 신재생 발전 자회사인 EDF-R과 함께 오는 6월부터 2026년 7월까지 UAE 수도 아부다비 동쪽 70㎞ 지점 부지에 약 1조원 이상을 투입해 발전용 량 1,500㎿의 태양광발전소를 지을 예정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에스에너지, 알에스오토메이션, SDN, SK디앤디 등 일부 태양광에너지 테마가 상승.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3 15:30
에코앤드림 | 26,700 | 1,550 | +6.16%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2
"세탁서비스 분쟁 많은 시기…맡길때 옷 상태 확인해야"
-
3
유통가 1분기실적 엇갈려…이마트·롯데쇼핑·현대百 이익개선
-
4
"중견기업, 월드클래스로 키운다"…산업부 10개 R&D 과제 지원
-
5
'건설교통신기술의 날' 동탑훈장에 박종면 지승씨앤아이 대표
-
6
현대차, 오늘 올해 1분기 실적 발표…관세여파 주목
-
7
롯데백화점, 황금연휴 맞아 '슈퍼해피' 테마 행사…식음료 할인
-
8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9
제이스코홀딩스, 자기 전환사채 매도 결정
-
10
SK하이닉스,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7.44조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