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3) - 특징 테마
입력 : 2023.02.13 17:07:27
제목 : 증시요약(3) -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문 사장, 챗GPT 갤럭시 탑재 검토 소식 등에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美 서부 송유관 사고 소식 등에 강관업체(Steel pipe)/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 상승. ▷尹 대통령, 첫 방북 승인 주목 소식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남-북-러 가스관사업, DMZ 평화공원 등 일부 대북 관련 테마도 상승.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및 국제유가 강세 영향 등에 조선 테마 상승. 조선기자재 테마도 상승. ▷글로벌 빅테크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소식 등에 시스템반도체 테마 상승. ▷러시아 원유 감산 소식 속 국제유가 상승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테마 상승. LNG, 셰일가스, 도시가스 등 여타 에너지 관련 테마도 상승. ▷윤석열 정부 원전 기술개발 적극 지원 기대감 지속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올 업황 회복 기대감 지속 속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이 외 클라우드 컴퓨팅, 제4이동통신, 음성인식, 건설기계, 수산, LED장비, 통신, 모바일솔루션, 마켓컬리 관련주, 아스콘, U-Healthcare(원격진료), 윤활유, 토스 관련주, 해운,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태풍 및 장마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CPI 경계감 속 기대 인플레이션 반등 등에 인터넷/ IT 대표주 등 테마 하락. 게임, 엔터테인먼트, 메타버스, NFT 테마 등도 하락. ▷대우건설, 울산 주상복합사업 손절 우려 지속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하락.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5,174명, 지난해 6월 이후 최저치 기록 속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진단키트)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하락. ▷면역항암제, mRNA, 바이오시밀러, 치매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지난주 중국發 입국자 단기 비자 발급 재개 소식 등에 상승했던 화장품, 면세점, 카지노, 여행 등 리오프닝 관련 테마 하락. ▷이 외 캐릭터상품, 웹툰, 크래프톤 관련주, 보안주(물리), 카카오뱅크 관련주, 마이데이터, 항공기부품,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콜드체인(저온 유통), 2차전지(생산), 영화, 백화점, 폐기물처리, 공작기계, 미디어(방송/신문), 보안주(정보), 마리화나(대마), 홈쇼핑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문 사장, 챗GPT 갤럭시 탑재 검토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최근 AI 챗봇(챗GPT 등)이 업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문 사장이 지난 9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한 갤럭시S23 시리즈 출시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챗GPT 기술을 모바일 장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보고 있다"며 "챗GPT로 모바일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짐. ▷노태문 사장은 "챗GPT는 물론 이에 국한하지 않고 AI 분야 전반에 걸쳐 선두 기업인 MS, 구글, 아마존, 메타 등과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논의중"이라며 "삼성은 세계 각국에 여러 AI 연구개발(R&D) 센터도 보유하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셀바스AI, 코난테크놀로지, 솔트룩스, 마인즈랩, 알에프세미 등 AI 챗봇(챗GPT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셀바스AI는 폴라리스오피스와 AI 오피스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 소식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 |
강관업체(Steel pipe)/ 피팅(관이음쇠)/밸브 | 美 서부 송유관 사고 소식 등에 상승 |
▷지난 11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송유시설 업체 킨더 모건이 운영하는 LA 인근 롱비치 송유관에서 기름이 새는 사고가 발생했고, 라스베이거스를 비롯해 네바다주 남부에 휘발유와 경유를 공급하는 일부 송유관 가동이 중단됐다고 전해짐. 킨더 모건은 성명을 내고 관련 당국에 사고 사실을 통보했고 기름 유출 원인을 조사 중이라며 이번 사고로 영향을 받을 고객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알려짐. 조 롬바르도 네바다 주지사는 송유관 사고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대체 연료를 확보하고 연방 정부의 지원 등을 받기 위해 비상사태를 선포했음. ▷이 같은 소식 속 휴스틸, 하이스틸, 화성밸브, 성광벤드, 태광 등 강관업체,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가 상승. ▷한편, 휴스틸은 지난 10일 장중 실적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1.03조원(전년대비 +67.25%), 영업이익 2,887.59억원(전년대비 +356.79%), 순이익 1,931.91억원(전년대비 +408.56%). 이와 관련, 북미지역에너지용 강관 시황 개선, 미주 수출강관의 반덤핑 연례재심 확정판결에 따른 관세 환급 및 충당금 감소 등으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밝힘. | |
남북경협 | 尹 대통령, 첫 방북 승인 주목 소식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류재복 남북이산가족협회장이 북측으로부터 초청장을 받아 방북(訪北)을 신청한다고 전해짐. 류 회장은 북측으로부터 받은 초청장을 지난 7일 통일부에 제출하고, 방북 승인을 신청하기 위한 서류를 준비 중으로 통일부가 이를 승인할 경우 윤석열 정부 들어 첫 방북이 됨. ▷이와 관련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대해 "이산가족 관련 방북 신청이 지난 10일에 접수됐다"며, "다만 초청장을 발급한 북한 측 기관은 현재까지 우리 부가 파악하고 있는 기관이 아니다"라고 밝힘. 이어 "현재 북한 측 초청 기관의 성격과 신뢰성 등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에 일신석재, 남화토건, 신원, 제이에스티나 등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 |
조선 |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및 국제유가 강세 영향 등에 상승 |
▷다올투자증권은 조선산업 전체에 대해 2023년의 비용 인상 선반영, 건조량 증가의 고정비 효과, 고가선 스틸커팅에 따른 MIX 개선으로 실적 턴어라운드를 시작했다고 분석. 아울러 2025년 EPS에서 조선사들의 PER은 7~8배 수준이어 서, 업황(수주)이 좋다면 주가 상승여력 보이며, FLNG 등 해양 수주POOL이 많고, 탱커는 기다림이 필요하지만 3년 전 컨테이너선처럼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다고 설명. ▷러시아 감산 결정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영향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러시아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자발적으로 3월에 하루 50만 배럴의 원유 생산을 줄일 것이라고 밝힘. 러시아의 이번 감산 규모는 하루 생산량의 5%에 해당하는 규모로, 이 같은 소식에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66달러(+2.13%) 상승한 79.72달러를 기록. ▷이와 관련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국조선해양 등 조선 테마가 상승. HSD엔진, 성광벤드, 하이록코리아 등 조선기자재 테마도 상승. | |
시스템반도체 | 글로벌 빅테크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소식 등에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 시가총액 상위 IT기업 10곳 모두 AI 반도체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사업에 적용하는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아마존의 클라우드 자회사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추론형 AI 반도체 ‘인퍼런시아’의 두 번째 모델을 작년 말 공개한 것으로 알려짐. ▷또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은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하고 있고 메타(옛 페이스북)는 개발 중으로 중국 텐센트(즈샤오), 바이두(쿤룬)도 자체 칩을 공개한 것으로 전해짐. 테슬라도 AI 반도체를 자율주행 보조기능(오토파일럿) 등에 적용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챗GPT를 갤럭시에 탑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세계 AI 반도체 시장이 2020년 121억달러(약 15조3,730억원)에서 내년 343억달러(약 43조5,780억원)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오픈엣지테크놀로지, 가온칩스, 에이디테크놀로지, 넥스트칩, 코아시아 등 시스템반도체 테마가 상승. 또한, 반도체 장비업체로 면 레이저(Area Laser) 광학 기술을 보유한 레이저쎌도 시장에서 부각. 특히,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성장과 함께 높은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는 증권사 분석도 호재로 작용하며 상한가를 기록. | |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 러시아 원유 감산 소식 속 국제유가 상승 등에 상승 |
▷알렉산드르 노박 러시아 부총리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언론을 통해 "현재 우리는 생산된 원유를 전량 판매하고 있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가격 상한제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이들에게 원유를 판매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와 관련해 러시아는 자발적으로 3월에 하루 50만 배럴의 원유 생산을 줄일 것"이라고 밝힘.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러시아의 하루 원유 생산량은 977만 배럴로 이번 감산 규모는 하루 생산량의 5%에 해당하는 규모임. 이에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66달러(+2.13%) 상승한 79.72달러에 거래 마감. ▷이 같은 소식 속 S-Oil, SK이노베이션, GS, 흥구석유, 중앙에너비스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상승. 또한, HSD엔진, 비에이치아이, 한국가스공사 등 LNG(액화천연가스)/도시가스/셰일가스(Shale Gas) 테마도 상승. 한편, 한국석유도 석유류제품 제조업 및 도소매업 영위한다는 사실 속 에너지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
인터넷/ IT 대표주 등 | 美 CPI 경계감 속 기대 인플레이션 반등 등에 하락 |
▷현지시간 14일 美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지난 10일에 발표된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가 반등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 긴축 장기화 우려가 지속되는 모습. 미시건대에 따르면, 향후 1년 단기 기대인플레이션 중간값은 4.2%로 전월 3.9%에서 상승했음. ▷Fed 고위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도 이어졌음.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는 "1월 고용지표가 견고했고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유지할 소비자 지출을 촉진할 수 있다며, 연준은 지금의 움직임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힘.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인플레이션이 억제되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갈 길이 멀다”고 언급했음. ▷이 같은 소식에 지난 주말 美 주요 기술주들이 대부분 하락했고, 이날 국내 증시에서도 NAVER, 카카오, SK하이닉스, LG전자 등 인터넷 대표주, IT 대표주 등의 테마가 하락. 아울러 대표적 성장주인 컴투스, 넷마블 등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등도 하락. | |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 대우건설, 울산 주상복합사업 손절 우려 지속 등에 하락 |
▷언론에 따르면, 지난 6일 대우건설은 '울산동구일산동푸르지오' 사업장에 시공사로 참여하면서 연대보증 섰던 후순위 브릿지론 440억원을 자체 자금으로 상환한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대우건설 관계자는 "공사비, 본PF 이자비용을 부담하면서 사업성이 나오려면 부동산경기가 좋고 금리가 지금만큼 오르기 전이었던 작년에 검토했던 분양가보다 훨씬 높은 분양가를 매겨야 하는데 그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사업을 끝까지 진행하면 손실 규모가 440억원의 2~3배로 커질 것으로 예상해서 어쩔 수 없이 포기했다"고 밝힘. ▷아울러 정부 대책에 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등 금융시장은 안정세를 보였지만 실물 부동산 PF 시장은 여전히 살얼음판이며, 고금리에 지방 부동산시장이 침체된 만큼 '제2의 대우건설'이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특히, 최근 대우조선해양건설이 회생절차를 개시하는 등 혼란이 커져 부동산PF 시장은 더욱 경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에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아이에스동서, 계룡건설 등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9 15:30
셀바스AI | 13,470 | 210 | -1.54%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부럽습니다 형님”…형만한 아우는 없었다, 1분기 질주한 코스피 상장사
-
2
뉴욕증시, 美신용등급 강등에 '무덤덤'…美 국채 금리도 제자리(종합)
-
3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4
美백악관 "인도, 관세 협상에 개방적…아시아 국가 모델될 것"
-
5
MS, 스마트 AI코딩 에이전트 공개…"AI가 결정·작업하는 시대"(종합)
-
6
4월 픽업트럭 등록 작년 동기比 2배↑…타스만·무쏘EV 효과
-
7
5년여간 금융권 전산장애 1천763건 발생…피해금액 295억원
-
8
국민 61% "민생과제 1순위는 물가"…일자리·주거 등 뒤이어
-
9
[게시판] 'ESG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운영…오늘부터 접수
-
10
4월 회사채 발행 9조 급증…"美관세 불확실성에 선제적 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