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주 신고가 종목
입력 : 2024.02.19 17:10:40
제목 : 52주 신고가 종목
종목명 | 등락률(%) | 특이사항 |
지역난방공사 (071320) | +29.99% | 7개 상장 공기업, 경영평가에 ‘주주가치 제고’ 반영 소식 |
엔켐 (348370) | +19.64% | 美 해외우려집단(FEOC) 가이드 라인 본격화에 따른 전해액 업체 수혜 기대감 지속 속 관련주로 지속 부각 |
테크윙 (089030) | +18.41% | |
TCC스틸 (002710) | +15.53% | |
HLB (028300) | +14.87% | 간암 치료제 후보물질 '리보세라닙' 美 FDA 허가 기대감 지속 등에 HLB 그룹주 상승 |
에코앤드림 (101360) | +14.72% | |
리노스 (039980) | +11.89% | 오픈AI, 동영상 편집 AI 소라(Sora) 공개 모멘텀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
한국전력 (015760) | +9.95% | 7개 상장 공기업, 경영평가에 ‘주주가치 제고’ 반영 소식 |
SK디스커버리 (006120) | +8.47%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사조대림 (003960) | +8.43% | 지난해 호실적 |
해성티피씨 (059270) | +8.23% | |
한전KPS (051600) | +8.19% | 7개 상장 공기업, 경영평가에 ‘주주가치 제고’ 반영 소식 |
우리산업홀딩스 (072470) | +8.13%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인성정보 (033230) | +8.06% | 빅5 전공의 집단사직 및 韓총리, 의료계 집단행동시 비대면진료 전면 허용 소식 등에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테마 상승 |
LG (003550) | +7.25%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KT (030200) | +6.97% | 5G(5세대 이동통신) 테마 상승 및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올해 수익성 향상에 기반한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 지속 |
SK (034730) | +6.96%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젬백스링크 (064800) | +6.92% | 163.99억원 규모 유상증자 납입 완료 속 자율주행 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 |
HD현대일렉트릭 (267260) | +6.64% | 올해 호실적 기대감 |
동아에스티 (170900) | +6.47% | 간질성·재발성 방광염치료 의료기기 '플리시스' 출시 소식 |
SK스퀘어 (402340) | +6.26%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저평가 분석 모멘텀 지속 |
SNT다이내믹스 (003570) | +6.08% | 2월 임시국회서 수은법 개정안 처리 기대감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
유비케어 (032620) | +5.97% | 빅5 전공의 집단사직 및 韓총리, 의료계 집단행동시 비대면진료 전면 허용 소식 등에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테마 상승 |
한양증권 (001750) | +5.89%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삼성생명 (032830) | +5.85%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하나금융지주 (086790) | +5.75%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점진적인 주주환원정책 강화 전망 모멘텀 지속 |
부국증권 (001270) | +5.25%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지난해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메리츠금융지주 (138040) | +5.08%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동아타이어 (282690) | +4.95% | 고배당 결정 모멘텀 지속 |
NHN KCP (060250) | +4.89% | 올해 호실적 기대감 |
보령 (003850) | +4.29% | |
삼성물산 (028260) | +4.03%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주주환원 기반 건전한 사업모델 부각 모멘텀 지속 |
솔고바이오 (043100) | +3.34% | 자회사 알엠생명과학, 사우디 업체와 액상세포검사 LBC 공급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
미래에셋벤처투자 (100790) | +3.34% | VC기업 중 가장 저평가 분석 모멘텀 지속 |
DB금융투자 (016610) | +3.14%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SK하이닉스 (000660) | +3.07% | TSMC와 AI 반도체 동맹 구축 기대감 지속 |
예스코홀딩스 (015360) | +2.68%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도시가스 사업 호조 및 PC사업 확장 기대감 지속 |
세원정공 (021820) | +2.55%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한일홀딩스 (003300) | +2.43%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지난해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기업은행 (024110) | +2.19%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지난해 사상 최고 실적 모멘텀 지속 |
동양생명 (082640) | +2.18%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에스앤디 (260970) | +2.15% | 경영권 영향으로 보유목적 변경 모멘텀 지속 |
DB손해보험 (005830) | +2.10%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설계 'AI비서' 개발 특허 획득 모멘텀 지속 |
우리금융지주 (316140) | +2.10%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대형 은행주 중 낮은 PBR 분석 모멘텀 지속 |
키움증권 (039490) | +2.10%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주주환원 강화 기대감 지속 |
현대차증권 (001500) | +2.00%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코리안리 (003690) | +1.99%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중장기 실적 호조 기대감 지속 |
삼양통상 (002170) | +1.94% | 지난해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삼보판지 (023600) | +1.91% | 소액주주연대, 주주행동 본격화 기대감 지속 |
한국금융지주 (071050) | +1.87% | 저PBR 수 혜주로 지속 부각, 충분한 PBR 상승여력 분석 |
BNK금융지주 (138930) | +1.65%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올해 호실적 및 주주환원 기대감 |
NH투자증권 (005940) | +1.64%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지난해 4분기 IB부문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 |
SK텔레콤 (017670) | +1.54% | 5G(5세대 이동통신) 테마 상승 속 AI 신사업 기대감 및 주주환원책 기대감 지속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161390) | +1.26% | 토요타그룹 상용차 브랜드 ‘히노’에 타이어 공급 모멘텀 지속 |
삼성증권 (016360) | +1.21% |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올해 실적 개선 기대감 지속 |
미래에셋증권 (006800) | +0.78% | 오는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 내용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저PBR 수혜주로 지속 부각 |
HDC현대산업개발 (294870) | +0.48% | 업종 내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 구축 사이클 초입 진입 분석 모멘텀 지속 |
※ 본 52주 신고가 자료는 작성일 기준 장중 고가(수정주가) 기준이며, 상승 종목만을 선정한 것 입니다.
※ 신규 상장후 1년이 안 된 종목, 우선주 및 ETF는 적출기준에서 제외.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지역난방공사 | 82,900 | 1,800 | +2.22%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