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탄소 리스크 덮친 해운사…IMO "2050년 탄소배출 완전 금지"

박동환 기자(zacky@mk.co.kr)

입력 : 2023.02.14 18:01:00




2050년까지 해운 분야 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초고강도 글로벌 환경 규제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장기적으로 모든 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는 탈탄소화를 추진한다.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오는 7월 열리는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80)에서 2050년 해운 분야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기존 2008년 대비 50%에서 100%로 상향하고, 탄소연료 사용에 대해 막대한 부담금을 부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부담금 규모가 자그마치 800억달러(약 101조7520억원)에 달할 수도 있어 국내 해운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14일 해양수산부는 2030년까지 유럽·미주 정기선대의 60%를 친환경 선박으로 우선 전환하고, 나머지 선박들도 2050년까지 모두 전환한다고 밝혔다. 해운업 탈탄소화 방안을 발표한 것은 아시아에선 한국이 처음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 산업은행과 조성한 4조5000억원 규모의 공공기금으로 후순위 대출 등을 지원해 선사들의 친환경 전환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2050년까지 총 71조원의 자금이 투입될 전망이다. 송상근 해수부 차관은 "강화되는 탈탄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선박 및 연료 전환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2050년까지 전체 선대 867척을 전부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2018년 IMO는 탄소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 2050년까지 배출 총량을 50%까지 줄인다는 규제를 발표했다. 정부에 따르면 올해 7월 회의에서 이를 100%로 올릴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 2050년부터는 탄소 배출 자체가 금지되는 것이다.

또 IMO 회원국들은 선박에 사용된 연료에 따라 선사들에 '탄소부담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IMO는 지난해 5월 내부 작업반(ISWG)에서 10여 년간 지지부진했던 부담금 도입과 관련한 합의를 일부 이뤄냈다. 오는 7월 회의에선 부담금 부과 방식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정 기준 이상 탄소를 배출하면 t당 100달러 혹은 그 이상의 금액을 부과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해수부가 전 세계 외항 선박들의 탄소 배출량과 부과금액 100달러를 기준으로 자체 추산한 결과 전체 부담금 규모는 약 800억달러에 육박한다.

친환경 리스크에 더해 최근 해운운임지수도 추락 중이다. 지난 10일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995.16을 기록하며 2년8개월 만에 1000대가 무너졌다. 해운운임은 코로나19에 따른 항만 적체 현상으로 2020년 9월부터 급등하며 지난해 1월 사상 최고치(5109.6)를 기록한 바 있다. HMM은 지난해 영업이익 9조9455억원을 기록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부터는 전체 해운업계 실적이 크게 꺾일 전망이다. 선복량 기준 업계 5위 선사인 독일 하파그로이드의 롤프 하벤 얀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해운 수요와 공급 재편 과정에서 운임이 계속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운 분야에서 친환경 리스크가 커지는 것이 국내 조선업계에는 기회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클라크슨리서치의 통계를 토대로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조선산업은 지난해 전 세계 발주량의 37%인 1559만CGT(453억달러)를 수주했다. 2018년(38%) 이후 최대 수주 점유율이다. 특히 IMO의 환경 규제 강화로 전 세계 친환경 선박(LNG·메탄올·전기 등) 발주 비중은 2021년 32%에서 2022년 62%로 급증했고, 한국은 전 세계 발주량 2606만CGT 중 50%를 수주해 1위를 달성했다.

다만 수주량 중 92%가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선박인 점은 한계다. LNG는 선박연료로 가장 많이 쓰이는 벙커C유보다 탄소 배출량이 30% 정도 적고 황산화물도 거의 배출되지 않아 현행 환경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롭지만, 기본적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연료인 만큼 IMO의 강화된 환경 규제 속에서 지속가능하기 어렵다. 이에 정부는 미래 선박 시장의 기술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암모니아·전기 추진선박의 추진 시스템 개발에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박동환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08:0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