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수산자원연구원 "한치 인공부화 성공"
"사라지는 오징어류 인공종자 생산 연구 첫걸음"
이승형
입력 : 2024.03.05 15:15:33
입력 : 2024.03.05 15:15:33

[경북도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도 수산자원연구원은 한치로 널리 알려진 화살꼴뚜기를 실내 육상수조에서 사육하면서 산란을 유도해 수정란 부화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울진군 후포항에서 채낚기로 어획한 몸길이 24㎝ 정도의 한치 300마리를 구입, 육상 수조에서 2개월간 사육하면서 적정 사육환경과 먹이생물 등을 규명했다.
또 수조에서 암컷과 수컷의 교미(짝짓기)와 산란을 유도해 이달 초 국내 처음으로 인공부화에 성공했다.
연구를 맡은 김윤하 박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한치 사육에 관련된 정보가 없었으나 대문어 등 다른 수산생물의 종자생산 노하우를 참고하고 자연환경과 유사한 사육환경을 만들어 산란 유도가 가능했다"고 말했다.
한치는 몸길이가 30㎝를 넘는 대형종으로 주로 동해 연안에 서식하는 오징어목 꼴뚜기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이다.
다리가 한치(약 3㎝) 정도라 이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제주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대형 꼴뚜기류인 창꼴뚜기와 함께 두 종을 구분 없이 한치라고 부른다.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가 동해안 대표 수산물인 살오징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오징어류 인공종자 생산을 위한 번식 생태계 연구에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오징어류를 대표하는 살오징어는 어획량이 10년 전과 비교해 80% 이상 급감하고 가격도 폭등했다.
이에 채낚기 어선들은 살오징어 조업을 포기하고 한치를 어획하는 추세다.
울진 후포항의 경우 한치 어획량이 2019년 3.2t에서 2023년 59.4t으로 증가했다.
이영석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동해안 오징어류가 대표 수산자원으로 명맥을 이어가도록 대량 종자생산 기술 확보에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aru@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DSR 강화 전 사자"…강남 아파트값 강세에 강북도 매수 '꿈틀'
-
2
트럼피즘에 세계 각국 ‘합종 연횡’···韓 글로벌사우스 공략도 잰걸음
-
3
'야간관강 활성화 모색' 광주시의회 의정콘퍼런스
-
4
삼성물산,카타르 인프라사업 본격화…"태양광·데이터센터 추진"
-
5
보훈부, AI 활용 보훈행정 혁신 아이디어 경진대회 개최
-
6
유럽IR 마친 진옥동…“골드만삭스와 IB·WM 협력”
-
7
대만서 만나는 K-관광의 매력…전북도, '한국여행엑스포' 참가
-
8
실손보험 간소화 시행에도…병원-보험업계 줄다리기에 “백약이 무효”
-
9
"머스크의 트럼프 정부 관여, 역대 최악 '브랜드 파괴' 행위"
-
10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