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4.03.06 11:11:03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면역항암제, 제대혈,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의료AI, 마이크로바이옴,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모더나(MODERNA), 탈모 치료, 치매, mRNA(메신저 리보핵산), 줄기세포, 유전자 치료제/분석,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콜드체인(저온 유통),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AI 챗봇(챗GPT 등), 비만치료제, 건강기능식품,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등...
약세 테마맥신(MXene), STO(토큰증권 발행),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건설 대표주, 항공/저가 항공사(LCC), 화학섬유, 전자결제(전자화폐), 두나무(Dunamu), NFT(대체불가토큰), 무선충전기술, 야놀자(Yanolja), 토스(toss), 증권, 손해보험, 석유화학,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반도체 대표주(생산), 모바일게임(스마트폰), 피팅(관이음쇠)/밸브, IT 대표주, 게임, LPG(액화석유가스), 백화점, 해운, 음원/음반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제약/바이오 관련주美 AACR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Annual Meeting 2024)가 현지시간으로 4월5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AACR 초록이 공개되면서 암학회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음.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이날 언론을 통해 AACR에 제출한 항-CD39 항체 ‘AR062’의 연구결과가 공식 발표 주제로 채택됐다고 밝혔으며, 레고켐바이오는 5개의 초기 파이프라인을 발표할 예정. 루닛은 신규 연구 7편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 외에도 지놈앤컴퍼니, 파로스아이바이오, 앱클론, 신라젠, 에이비온, 큐리언트 등이 참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한편, IBK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AACR은 6월 개최되는 ASCO(미국 임상 종양 학회)대비 투자자들의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레고켐바이오의 경우, 과거 기술이전 된 파이프라인 모두 비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기술이전 계약이 체결됐다고 밝힘. 글로벌 ADC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초기 파이프라인에 대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와이바이오로직스, 지놈앤컴퍼니, 파로스아이바이오, 레고켐바이오 등 제약업체, 면역항암제, 마이크로바이옴, 코로나19, 비만치료제, 유전자 치료제/분석, 치매, 의료AI 등 전반적인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삼성전자, CXL 시장 선점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열풍 속에서 차세대 메모리로 주목 받고 있는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시장 선점에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전해짐. 삼성전자는 AI용 반도체 시장을 지배하는 미국 엔비디아가 이달 18~21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는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컨퍼런스인 'GTC 2024'에서 ‘데이터 중심의 컴퓨팅을 위한 CXL’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

▷데이비드 매킨타이어 삼성 반도체 미국법인의 제품 기획 및 비즈니스 지원 팀 이사가 연사로 나서, CXL을 통한 데이터 처리 최적화 방안에 대해서 소개할 계획임. 업계에선 삼성전자가 현재 CXL 기반 D램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2021년 세계 최초로 CXL 기반 D램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업계 최초 고용량 512GB 제품 개발(2022년), 업계 최초 CXL 2.0 제품 개발(지난해) 등 관련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음.

▷한편, 시장조사기관 욜 인텔리전스는 오는 2030년 1,000억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메모리 시장에서 CXL 메모리가 200억달러(27조원)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네오셈, 티엘비,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엑시콘, 오킨스전자 등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테마가 상승.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애플 신형 '아이패드 프로'에 OLED 패널 전량 공급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이르면 이달 나오는 애플의 신형 태블릿PC ‘아이패드 프로’에 사용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전량 공급하는 것으로 전해짐. 납품 규모는 총 850만 장으로 금액은 3조9,000억원에 이르며, BOE 등 중국 업체를 따돌리고 한국 업체가 애플 아이패드의 OLED 패널을 독식한 것은 이번이 처음임.

▷한편, 산업계에서는 국내 기업이 까다로운 애플의 ‘눈높이’를 통과한 만큼 이제 막 열리기 시작한 노트북, 게임용 모니터 등 다른 중형 OLED 시장에서도 중국 업체의 추격을 따돌릴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음. 삼성은 이 시장을 잡기 위해 2026년까지 4조1,000억원을 투입해 8.6세대(가로 2250㎜, 세로 2600㎜) OLED 생산라인을 짓기로 했으며, LG도 8.6세대 라인 투자 시기를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윈텍, 제이엠티, 에프엔에스테크, 원익머트리얼즈, 이녹스첨단소재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민간 주도 우주사업 본격화 기대감 등에 상승
▷유안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우주개발 산업이 New Space시대로 접어들면서 국내에서도 민간 주도의 우주사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 누리호(한국형발사체-II, KSLV-II) 제작이 본격화된 20년 이후 우주산업의 규모가 큰 폭으로 성장했다며, 차세대발사체(KSLV-III), 다수의 위성 사업이 진행되고 민간기업의 자체 발사체, 위성 제작도 증가하고 있어 국내 우주개발 시장 성장은 지속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단기적으로는 위성 분야가 국내 민간 우주시장을 주도하고 28년에는 민간 발사서비스 시장이 개화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정부는 단기적으로 누리호를 비롯한 소형 발사체와 소형 저궤도 위성을 기업에 이전하고 중장기적으로 우주서비스 등 산업 전반을 민간 중심으로 이전해 기업이 제공하는 우주 서비스를 구매, 사용하는 형태로 우주 사업을 전환할 계획이라고 밝힘. 30년까지 예정된 정부의 위성 사업을 고려한다면 위성체 제작분야에서의 성장은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인텔리안테크, 쎄트렉아이 등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테마가 상승.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병원 이탈 전공의 행정처분 본격화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전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회의 후 "전공의 7,000여명에 대한 미복귀 증거를 확보했다"면서 곧바로 '3개월 면허정지'를 하겠다는 행정처분 사전통지서를 발송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복지부 관계자는 "오후부터 이탈이 확인된 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처분 사전통지서 발송을 시작했다"며 "6일은 더 본격적으로 발송할 것"이라고 밝힘.

▷전일 언론에 따르면, 전공의 이탈에 따라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한 지난달 23일 이후 비대면 진료 이용건수가 이전 대비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비트컴퓨터, 토마토시스템, 인성정보, 유비케어, 제이엘케이, 라이프시맨틱스 등 원격진료/비대면진료(U-Healthcare)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등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경신 뒤 급락 등에 하락
▷비트코인이 6만9,000달러를 돌파해 지난 2021년 11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뒤 차익실현 매물 등이 출회되며 급락세를 기록.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전 10시30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7.6% 하락한 6만3,400달러 선에서 거래중임. 빗썸과 업비트에선 9,700만원 선까지 상승한 후 8,900만원선에 거래중임.

▷이 같은 소식 속 우리기술투자, 위지트, 갤럭시아머니트리, 티사이언티픽, 한화투자증권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Dunamu) 테마가 하락. 또한, 갤럭시아에스엠, 케이옥션, 서울옥션, 다날, FSN 등 STO(토큰증권 발행)/NFT(대체불가토큰) 테마도 하락.
아이폰아이폰 中 판매량 감소 소식 등에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에서 애플은 전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로부터 반독점법 위반으로 18억4,000만유로(약 2조6,7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데 이어 중국 내 아이폰 판매 부진 소식이 전해지며 3% 가까이 하락해 연일 하락세를 이어갔음.

▷5일(현지시간)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애플 아이폰은 올들어 6주 동 안 중국 시장에서 판매가 전년동기대비 24% 급감했음. 이처럼 아이폰 판매량이 급감한 것은 화웨이를 비롯해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중국 토종업체들의 선전때문으로 특히, 화웨이는 올 들어 첫 6주 동안 스마트폰 판매량이 65% 증가했음.

▷이 같은 소식 속 LG이노텍, 삼성전기, 인터플렉스, 슈피겐코리아 등 아이폰 테마가 하락.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8 15:30
와이바이오로직스 11,510 320 +2.86%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9 05:4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