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4.03.14 14:39:18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조선, 조선기자재, 손해보험, 피팅(관이음쇠)/밸브, 정유, LNG(액화천연가스), 전선,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애플페이, 윤활유, 생명보험, 은행, 원자력발전, 셰일가스(Shale Gas), LPG(액화석유가스),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건설 대표주, 해운, 전력설비, 음원/음반, 자동차 대표주, 모더나(MODERNA), 유리 기판, 엔터테인먼트, 조림사업, 비철금속, 시멘트/레미콘, 종합상사, 통신 등...
약세 테마뉴로모픽 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온디바이스 AI,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PCB(FPCB 등),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재료/부품, 2차전지(전고체), LED장비, 반도체 장비,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NI(네트워크통합), 모바일게임(스마트폰), 게임,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3D 프린터, 웹툰, 비만치료제, 2차전지(생산), 코로나19(진단키트), NFT(대체불가토큰)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해운하반기 BDI 반등 전망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전일 리포트를 통해 올 3분기 중반부터 건화물선운임지수(BDI)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 지난해 하반기부터 중국 정부가 부동산 지원 및 규제 완화책들을 다수 발표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중국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부진하나, 여름철 비수기 이후에는 정책 효과가 작용하면서 중국 철강 수요 및 건화물선 물동량 회복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동시에 지난해 IMO가 도입한 탄소집약도지수(CII) 정책으로 올해부터 운항이 제한되는 선박이 확대될 예정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가용 선복량 축소 효과가 기대된다고 언급.

▷한편, 올해도 대형 선박인 Cape급 운임이 BDI를 좌우했는데 Cape급 운임지수(BCI)의 경우 2월 저점때는 일시적으로 2,000포인트 하회했으나, 최근에는 4,000포인트를 기록 중이라고 설명. 이는 2월 중순 중국의 부동산 부양을 위한 유동성 공급책(LPR 5년물 25bp 인하) 발표와 브라질의 우기 지연에 따른 철광석 수출 여력 개선 및 춘절 이후 중국 철강 및 산업활동 재개에 따른 철광석과 석탄 수입 확대 기대감 등이 운임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 홍해 위기와 파나마 운하 통행 제한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도 운임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

▷이와 관련 팬오션, STX그린로지스, 대한해운, HMM 등 해운 테마가 상승.
풍력에너지글로벌 풍력 산업 회복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KB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4년 신규 설치될 것으로 전망되는 글로벌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115GW로, 전년대비 11.4%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특히, 2022년 이후 주춤했던 해상풍력 설비가 20.6GW로 2023년 12GW 대비 71.5% 증가할 전망이라며, 지역별로는 중국과 미국이 정책지원을 바탕으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

▷아울러 2023년 미국의 해상풍력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다가 갑작스러운 위기를 맞았지만, 파기 가능성이 있는 프로젝트가 줄어들었고, 재입찰 및 계약 등을 통해 사업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업황이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한편, 한국의 경우 현재 추진 중인 해상풍력발전단지는 있으나, 복잡한 인허가 절차, 부족한 정부 정책지원 등으로 인해 건설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힘.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해상풍력특별법은 현재 국회 상임위에서 논의 중이며, 4월 총선 이후 통과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

▷이에 금일 태웅, 세진중공업, LS, SK오션플랜트 등 일부 풍력에너지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04 15:30
팬오션 3,845 45 -1.16%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5 06:3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