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맛집을 통계로…맞춤 관광지표 만든다"

김정환 기자(flame@mk.co.kr),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입력 : 2023.02.19 17:11:51
한훈 통계청장 인터뷰
SKT 등 통신사 빅데이터 활용
지역별 관광통계 다음달 발표
만성적자 여행수지 개선 기대
외식배달비 지수 새로 만들어
국민 체감물가와 거리 좁힐것








정부가 통신사 모바일 데이터를 활용해 다음달 맞춤형 관광 통계를 내놓는다. 최근 제주 한 달 살기 등 새로운 지역에 오래 머무는 여행 트렌드가 강해지자 장기 체류객이 자주 찾는 현지 관광지나 맛집 등을 분석해 업계가 신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여행수지 적자, 내수 침체, 가계부채 등 한국 경제의 고질병을 보완할 수 있는 통계도 내놓는다.

한훈 통계청장은 지난 16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며 "통계청의 통계등록부(기본 통계 묶음)와 SK텔레콤 모바일 정보를 결합해 지역 방문자 특성별로 관광 특징을 분석하고 있다"면서 "이르면 다음달 중으로 지역별 관광 특성 통계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청장은 "새로운 통계가 나오면 예컨대 제주를 찾은 관광객 중 장기 체류자들의 이동 패턴과 선호 관광지, 나이, 원래 거주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며 "신용카드 거래 정보와 연계해 소비 패턴까지 분석해서 맞춤형 지역 관광 개발과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통계청은 맞춤형 통계 대상을 외국인 관광객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여행수지는 79억달러 적자로 22년째 만성 적자 상태가 계속되며 경상수지를 압박하고 있다. 한 청장은 "통신사 로밍 정보를 활용하면 한국을 찾은 외국인의 국적과 방문 지역, 체류 시간 같은 관광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며 "이들 특성에 맞는 맞춤형 관광 상품을 개발해 여행수지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수 표정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통계도 작성한다는 계획이다. 경기 변화 속도가 빨라지며 이를 발 빠르게 포착할 수 있는 시의성 있는 통계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 청장은 "신용카드 매출 등 소비 시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는 많지만 내수 온도를 보여주는 속보 통계가 마땅치 않다"며 "한국전력의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이용해 내수 관련 통계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고물가 대응이 최대 경제 현안이 된 가운데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와 지표물가 간 거리를 좁히는 작업에도 나선다. 특히 국민 생활과 밀접한 배달비와 주거비 통계를 대폭 강화한다. 현재 소비자물가 통계에서 배달비는 외식품목 가격에 포함돼 산출된다. 하지만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음식을 시켜먹는 문화가 확산되며 국민들이 배달비 변동에 부쩍 민감해졌고, 별도 배달비 통계를 파악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에 한 청장은 "배달 문화가 많이 확산된 현상을 감안해 배달비를 좀 더 정교하게 물가에 담아낼 것"이라며 "배달비만 별도로 뽑아낸 외식배달비지수를 오는 12월 공표한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전체 외식물가에서 배달비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 또 배달비 부담이 얼마만큼 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진다.

종전까지 소비자물가 통계 보조지표로만 공표 중인 자가주거비를 주지표에 넣는 방안 역시 검토한다. 다만 한 청장은 "자가주거비가 주지표에 포함되면 갑자기 소비자물가가 급등해 국민연금, 최저생계비 등 물가를 기준으로 삼는 가격 지표가 함께 뛰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이해관계자들 의견을 수렴해 2025년까지 반영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국 경제 뇌관인 가계부채를 촘촘히 관리할 수 있는 통계도 연내 발표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가계빚(가계신용)은 1871조원으로, 역대 최대로 불어나 부실 위험이 부쩍 커졌다. 한 청장은 "국내 주요 신용평가사인 코리아크레딧뷰로(KCB)와 합작해 가계부채의 특성을 분석했다"며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논의해 관련 기관 협의체를 구성한 후 연내 가계부채 통계를 공표한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통계청은 전세 보증금 등 종전 가계부채 통계에서 빠진 사각지대를 보강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전세 보증금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개인끼리 거래하는 사적 금융이라는 이유로 정부에서 작성하는 가계부채 공식 통계에선 빠져 있어 통상 '그림자 부채'로 불린다. 한 청장은 "전·월세 보증금 데이터에 대한 가용성 조사에 나설 것"이라면서도 "다만 데이터 수집에 상당한 시간이 들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정환 기자 / 홍혜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14:1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