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는 엔비디아 팔 때 … 글로벌 IB "사라"

김인오 기자(mery@mk.co.kr)

입력 : 2024.05.27 18:00:19
20% 올라 '천비디아' 등극에
최근 한달간 차익실현 나서
해외 기관에선 목표가 줄상향






인공지능(AI) 투자 열풍을 주도한 엔비디아 주가가 급등하자 국내 투자자들이 앞다퉈 차익 실현에 나섰다.

AI 시대에 대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주가 상승세가 가팔랐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월가에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엔비디아의 AI 산업 시장점유율이 하락할 가능성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27일 한국예탁결제원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이후 최근 한 달간 국내 투자자들은 엔비디아 주식을 총 12억437만달러(약 1조6437억원)어치 매도했다. 해외 주식 매도금액으로 따지면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3배로 따르는 상장지수펀드(ETF)인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 셰어스'(SOXL·18억416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같은 기간 엔비디아는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순매수 기준 5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올해 1월 이후부터 4월 24일까지 엔비디아가 한국인 순매수 2위 종목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차익 실현이 두드러진 셈이다. 해당 기간 엔비디아 주가는 20% 이상 올랐다.

엔비디아는 지난 20일 이후 5거래일간 주가가 14% 가까이 상승하며 시가총액이 2조620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기준 한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약 1조7000억달러) 대비 1.5배 수준이다. GDP 세계 8위인 이탈리아(2조2900억달러)보다 크다. 지난 22일 엔비디아가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낸 것과 더불어 주식을 1대10으로 분할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단기적으로 고평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현재 엔비디아의 AI용 반도체 고객사인 빅테크 기업들이 다른 반도체 기업 AMD·브로드컴과 손잡고 자체 칩 개발에 나서는 것도 중장기적으로는 엔비디아 입지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증권가에서는 엔비디아 목표가를 상향하는 작업이 줄을 잇지만 신중론도 눈에 띈다. 지난 24일 독일계 투자은행인 DZ방크는 고평가 상태라는 이유로 엔비디아에 대한 투자 의견을 기존 '매수'에서 '보류'로 하향했다. 다만 23일 월가를 비롯한 글로벌 투자은행 최소 25곳이 일제히 엔비디아에 대해 '매수' 투자 의견을 내거나 목표가를 올려 잡았다.

글로벌 증권사 총 62곳이 제시한 목표가 범위는 주당 655~1400달러로, 평균치는 1173.08달러다. 평균 목표가를 기준으로 엔비디아 주가가 현재 대비 10%가량 추가 상승할 여력이 있다는 의미다.

[김인오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06 07:5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