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금제, 답례품보다 세액공제 혜택에 더 긍정적
민주당 전남도당, 수도권 거주 출향인 등 설문 조사 '기부금제 알고 있다' 9.0% 불과…제도 홍보 강화 필요
조근영
입력 : 2022.12.27 10:35:56
입력 : 2022.12.27 10:35:56
(무안=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수도권에 사는 전남 출향인과 출향 2세대는 '고향사랑기부제'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답례품보다 세액공제 혜택에 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새해부터 본격 시행되는 이 제도를 알고 있다는 사람은 10명 중 1명도 되지 않았고, 연간 기부금을 '3만원 미만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 신정훈)은 지난달 11일부터 25일까지 젠디앤디에 의뢰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전남 출향인과 부모님이 전남 출신인 1천335명을 대상으로 '고향사랑기부제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이들은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해 91.0%가 '모른다'고 응답했고, '안다'는 답변은 9.0%에 그쳤다.
고향에 기부한다면 얼마나 기부할지를 묻는 설문에는 '3만원 미만'이 39.0%로 가장 많았다.
기부의 동기를 묻는 설문에는 '애향심(응원 등)'이 21.8%, 세금감면 혜택(19.4%), 지역의 변화에 대한 기대(17.0%), 개인적 행복감(12.1%), 신선한 농수산물 수령(1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부에 참여 요인으로는 답례품보다 세액공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세액공제가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영향이 크다는 응답이 57.3%(매우 큼 15.6%, 큰 편 41.7%)로 드러났다.
고향과 고향사랑기부제 관련 정보를 얻는 통로로는 유튜브, SNS, 카카오톡 등 온라인커뮤니티서비스를 많이 선택했다.
시행을 코앞에 둔 이번 조사에서도 고향사랑기부제 자체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모금 방법 확대와 제도 홍보 강화가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인 신정훈 의원은 "일본 사례에서 보듯이 기부자의 자기부담금이 낮아야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제도의 활성화와 지방재정 확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내년 1월 1일 시행하는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주소지 이외 지자체에 기부하면 10만 원까지 전액, 10만 원 초과분은 초과액 16.5% 세액 공제를 받고 기부액 30% 범위에서 지역 특산물 등의 답례품을 받는 제도다.
chogy@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퇴직연금 볼 때마다 한숨 나오는데”…연금으로 부자 만들어주는 ‘이 나라’
-
2
민주 “정년연장 논의할 때 됐다”...연일 중도층 표심잡기
-
3
“산유국 꿈, 개꿈이었나”…정부 ‘대왕고래’ 시추 결과 보니
-
4
충남도, 중국 생성형 AI '딥시크' 접속 차단
-
5
유·초·중·고교도 딥시크 접속 차단…대학은 유의
-
6
英 기준금리 4.5%로 인하…BOE 총재 "향후 인하 신중"(종합)
-
7
관세에 '화들짝' 캐나다, 美의존 탈피 고심…노사정 머리 맞대(종합)
-
8
“5년 뒤 한국 사는 외국인 무려 300만명이라는데”...경제에 힘 될까, 짐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