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는 예고편?...여름철 ‘냉방비 폭탄’ 쏟아진다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입력 : 2023.02.26 13:06:32 I 수정 : 2023.02.26 14:06:50
입력 : 2023.02.26 13:06:32 I 수정 : 2023.02.26 14:06:50
정부, 에너지바우처 예산 5배 늘려
3년새 781억서 3710억으로 증가
30% 오른 전기료 본격 반영되는
무더위 여름철 ‘냉방비 폭탄’ 우려
3년새 781억서 3710억으로 증가
30% 오른 전기료 본격 반영되는
무더위 여름철 ‘냉방비 폭탄’ 우려
![](https://wimg.mk.co.kr/news/cms/202302/26/news-p.v1.20230226.c840741da61a4265bbd86bbd5a37fb74_P1.jpg)
26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에너지 바우처 예산은 총 3710억원이다. 기존 편성된 에너지 바우처 본예산 1910억원에 연초 새로 투입한 1800억원을 더한 수치다.
정부는 지난달 난방비 급등에 따른 서민 부담을 덜기 위해 기존 118만 에너지 바우처 지원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금액을 두 배로 올리는 대책을 내놨다. 대책에 소요되는 예산 1800억원 중 800억원은 이미 정해진 예산을 이전해 조달하고 1000억원은 예비비에서 끌어다 쓴다.
에너지 바우처 예산은 2019년 997억원, 2020년 781억원, 2021년 1124억원, 지난해 2306억원에 이어 올해 3710억원으로 최근 3년새 약 다섯 배 급증했다. 국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는 가운데 바우처 지원대상이 확대되고 지원단가가 오른 영향이다.
문제는 앞으로 다가올 냉방비가 복병이다. 지난해 오른 전기료가 냉방비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올 여름 냉방비 폭탄이 닥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기요금은 지난 1월 기준 전년 대비 이미 30% 올랐는데 연내 추가 인상이 유력하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최근 한국전력의 적자와 가스공사의 미수금을 고려할 때 전기·가스요금의 점진적인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장관은 “인상 속도와 폭 조절이 필요하다”면서도 “요금 동결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못 박았다.
전기료 상승세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무더운 여름철 냉방용 전기요금 부담이 커지면 냉방 에너지 바우처 지원금액도 겨울철 난방비처럼 증액하라는 여론과 정치권 압박이 거세질 가능성이 높다. 여름철 태풍 등 자연재해 발생을 감안하면 냉방비 지원에 추가 투입할 예비비 여력이 넉넉하지 않아 나라 재정을 담당하는 기재부 고심이 커질 전망이다.
올해 에너지 바우처 예산은 80% 이상(3097억원)이 난방비 지원 용도다. 냉방비 바우처는 10%인 369억원으로 난방비 지원금에 비하면 한참 적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