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 3위래”…2위 호주와 가계부채 격차 한자릿수로 축소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cap@mk.co.kr)

입력 : 2023.02.28 10:51:55
오기형 의원 “DSR 규제 완화 바람직하지 않아”


[사진 제공 = 연합뉴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현 시점에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완화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오기형 의원(서울 도봉을)은 간밤 발표된 국제결제은행(BIS)의 2022년 3분기 가계부채 통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5.3%를 기록해 세계 3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는다는 것은 가계와 기업, 정부가 한 해 번 돈 전부를 끌어 모아도 다 갚을 수 없을 만큼 가계 빚이 많이 불어났다는 의미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8년 2분기에 90%를 넘어섰으며, 2020년 3분기부터 100%를 웃돌았다.

이어 지난해 3분기까지 6분기 연속 105%를 넘어서며 세계 2위 호주와 격차가 좁혀지고 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자료 제공 = BIS]


BIS가 가계부채 통계를 집계하는 43개국 중 한국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현재 3위이다.

3분기 수치가 105.3%를 기록해 2분기(105.6%)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부채 축소 속도가 느린 상황이다.

2위 호주와는 격차가 지속적으로 축소, 2019년 초 30%포인트에 가깝던 격차가 8.3%포인트까지 줄어들었다.

상위권 국가들 중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뉴질랜드 등은 3분기 수치가 2분기 대비 1%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전세계적인 고금리 상황 속에서 다른 고부채 선진국들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부채 축소를 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오 의원은 “한국의 가계부채는 아직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고 전세계적인 고금리 환경이 올해 지속될 것”이라면서 “최근 일각에서는 DSR 규제를 완화하자는 주장도 있지만 DSR 규제는 가계부채 억제를 위한 최후의 보루”라고 말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8 03:2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