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발급 권한 도지사에 달라 … 10년간 18만명 이민받겠다"
김정환 기자(flame@mk.co.kr)
입력 : 2023.03.01 15:52:11 I 수정 : 2023.03.01 19:06:12
입력 : 2023.03.01 15:52:11 I 수정 : 2023.03.01 19:06:12
'지방소멸 위기' 대응 전략은
전북 인구 갈수록 줄어 180만명
과감한 수혈로 경쟁력 키워야
자산운용사 추가 유치 구상도
김관영 전북지사는 전북에 금융중심지 위상을 확립하겠다며 자본시장 분야 기업 유치 전략을 밝혔다.
전북이 글로벌 자산운용 금융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당면과제인 정부 금융중심지 지정과 한국투자공사(KIC) 등 금융 공공기관 추가 이전부터 끌어내야 한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금융위원회는 2019년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을 보류했는데 지난해 5월 윤석열 정부가 이를 지역공약에 반영한 이후 최근 지역발전 의제로 부각되고 있다. 김 지사는 "전북의 여건이 성숙돼야 정부로부터 금융중심지로 지정받을 수 있다"며 "현재 국내외 금융기관 7곳이 전주에 지점을 냈는데 앞으로 국제적인 신인도를 가진 자산운용사가 전주에 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프랭클린템플턴이 전주 연락사무소 개소를 확정했고 이를 신호탄으로 연내 글로벌 자산운용사 최소 5곳을 유치해 자산운용 중심 금융중심지를 만들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신용보증재단에서 국제금융센터를 건립하며 2026년까지 완공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김 지사는 "국제금융센터 입주 공간에 다양한 국제 금융기관과 자산운용사들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라며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과 관련해 KIC를 비롯한 기관과 각종 공제회를 집중적으로 유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금운용 관련 전문인력이 지방 근무를 피하려는 게 현실이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자산운용 관련 업무는 인터넷과 여러 통신수단을 통해서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정주여건을 개선한다면 그런 제약을 충분히 뛰어넘을 수 있다"고 대답했다. 김 지사는 "전문인력을 위한 교육·문화 여건도 대폭 개선하면서 금융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내 대학과 협력체계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그는 해외 우수 인력을 영입하기 위해 비자 발급 권한을 중앙정부로부터 위임받아서 과감한 인력 정책을 펼치겠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내년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계기로 현재 시범사업에 머물고 있는 도지사의 비자 발급 추천 권한을 대폭 받아오겠다는 주장이다. 김 지사는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10년간 로드맵을 그려 전북도 인구의 10%인 18만명 규모로 해외 인력을 받아들이려는 구상을 갖고 있다"며 "정보기술산업 분야에서 우수한 이민 인력을 받아 산업 경쟁력을 키운다는 방침"이라고 역설했다.
[김정환 기자]
전북 인구 갈수록 줄어 180만명
과감한 수혈로 경쟁력 키워야
자산운용사 추가 유치 구상도
김관영 전북지사는 전북에 금융중심지 위상을 확립하겠다며 자본시장 분야 기업 유치 전략을 밝혔다.
전북이 글로벌 자산운용 금융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당면과제인 정부 금융중심지 지정과 한국투자공사(KIC) 등 금융 공공기관 추가 이전부터 끌어내야 한다는 게 그의 진단이다.
금융위원회는 2019년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을 보류했는데 지난해 5월 윤석열 정부가 이를 지역공약에 반영한 이후 최근 지역발전 의제로 부각되고 있다. 김 지사는 "전북의 여건이 성숙돼야 정부로부터 금융중심지로 지정받을 수 있다"며 "현재 국내외 금융기관 7곳이 전주에 지점을 냈는데 앞으로 국제적인 신인도를 가진 자산운용사가 전주에 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프랭클린템플턴이 전주 연락사무소 개소를 확정했고 이를 신호탄으로 연내 글로벌 자산운용사 최소 5곳을 유치해 자산운용 중심 금융중심지를 만들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신용보증재단에서 국제금융센터를 건립하며 2026년까지 완공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김 지사는 "국제금융센터 입주 공간에 다양한 국제 금융기관과 자산운용사들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라며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과 관련해 KIC를 비롯한 기관과 각종 공제회를 집중적으로 유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금운용 관련 전문인력이 지방 근무를 피하려는 게 현실이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자산운용 관련 업무는 인터넷과 여러 통신수단을 통해서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정주여건을 개선한다면 그런 제약을 충분히 뛰어넘을 수 있다"고 대답했다. 김 지사는 "전문인력을 위한 교육·문화 여건도 대폭 개선하면서 금융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내 대학과 협력체계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그는 해외 우수 인력을 영입하기 위해 비자 발급 권한을 중앙정부로부터 위임받아서 과감한 인력 정책을 펼치겠다고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내년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계기로 현재 시범사업에 머물고 있는 도지사의 비자 발급 추천 권한을 대폭 받아오겠다는 주장이다. 김 지사는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10년간 로드맵을 그려 전북도 인구의 10%인 18만명 규모로 해외 인력을 받아들이려는 구상을 갖고 있다"며 "정보기술산업 분야에서 우수한 이민 인력을 받아 산업 경쟁력을 키운다는 방침"이라고 역설했다.
[김정환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캐나다 총리 "트럼프, 진짜로 캐나다 51번째주 합병 원해"
-
2
[속보] 트럼프 "다수 국가 상호 관세 부과, 10~11일께 회의 후 발표"
-
3
日총리 "트럼프와 북한 완전한 비핵화 위해 협력하기로"
-
4
우버, 헤지펀드의 지분매입 소식에 주가 급등…장중 8%대↑
-
5
아마존, 연례 보고서에서 '다양성·포용성' 언급 삭제
-
6
IMF 이어 '초인플레 해결' 前장관도 아르헨 환율정책 수정 주장
-
7
[뉴욕유가] 트럼프 '상호관세'에 상승분 대거 반납…WTI 0.55%↑
-
8
[뉴욕증시-1보] 인플레·상호 관세 원투 펀치에 '휘청'…동반 하락
-
9
美연준인사 "美노동시장 건강…트럼프 정책에 상당한 불확실성"
-
10
주유소 휘발윳값 17주만에 소폭 하락…"다음주도 내릴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