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카다시안, 머스크도 먹는다네”…살 빼고 통장 찌울 기회, ‘이 종목’ 들썩
김민주 매경닷컴 기자(kim.minjoo@mk.co.kr)
입력 : 2024.09.12 10:23:51
입력 : 2024.09.12 10:23:51
노보 노디스크·일라이 릴리, 시총·주가 고공행진
유명 비만약 ‘위고비’, 국내 상륙 예고에 투심 고조
비만 위험성 증가, 잠재수익성 지속 확대 예상
유명 비만약 ‘위고비’, 국내 상륙 예고에 투심 고조
비만 위험성 증가, 잠재수익성 지속 확대 예상

현대인들의 숙원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비만·다이어트를 해결할 신약이 최근 급격히 발전하며 관련주가 힘을 받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뉴욕거래소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약 시장 점유율 1, 2위를 다투는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는 전일대비 각각 4.20%, 2.18%씩 강세를 보이며 장을 마쳤다.
이는 이 기업들의 제품들이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됐고, 해외 유명인들이 직접 효과를 봤다는 후기가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노보 노디스크는 삭센다와 위고비 같은 GLP-1 계열 비만치료제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위고비는 해외 유명 모델인 킴카다시안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자신의 체중 관리 비결로 언급하며 전 세계 비만치료·다이어트 수요자들로부터 ‘기적의 약’으로 불리고 있다. 일라이 릴리는 ‘가장 강력한 체중 감량제’로 알려진 마운자로와 레타트루티드 등을 개발했다.
비만약 신드롬을 타고 두 기업 시가총액은 크게 증가했다.
노보 노디스크는 지난해 9월 시가총액이 4280억달러(약 573조원)를 돌파하며 유럽 기업 중 1위를 차지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이달 기준으로, 현재 시총은 5800억달러(약 777조원)에 달한다.
일라이 릴리는 ‘글로벌 제약사 시총 1위’ 타이틀을 차지했다. 2023년 말 기준 약 5242억달러(약 703조원)였던 일라이 릴리의 시총은 이달 들어 약 8521억달러(약 1140조원)로 증가했다.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비만약 투자 돌풍을 일으키자 그 여파는 국내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35분 현재 한미약품은 전일대비 8500원(2.70%) 오른 32만3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국내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이르면 2026년 말 에페글레나타이드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같은 시각 국내 대표 비만약 관련주로 꼽히는 유한양행(2.66%), HK이노엔(0.68%), 펩트론(2.86%), 인벤티지랩(1.39%), 케어젠(0.98%), 아이센스(1.33%) 모두 나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가 다음 달 중 국내 상륙을 예고하며 투심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증권가에선 관련 기업들에 대한 잠재성장성과 투자는 지속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지수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비만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고혈압, 뇌졸중, 암 등 여러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어 치료제에 대한 니즈는 더욱 증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서근희 삼성증권 연구원은 “미국 성인 인구의 42%가 비만(1.1억 명), 31%가 과체중임에도 비만 치료제 처방에 대해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제한적”이라며 “나이가 들수록 비만 정도가 악화되는 만큼 65세 이상에 대한 의료 보험에서 적극적인 환급이 이뤄진다면 비만 치료제 판매 볼륨 확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기사 관련 종목
05.23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