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바다 뒤덮은 쓰레기 더미..작년에만 12만톤 건졌다
박동환 기자(zacky@mk.co.kr), 김정환 기자(flame@mk.co.kr)
입력 : 2023.03.02 18:39:02
입력 : 2023.03.02 18:39:02
해양쓰레기 5년새 54% 늘어
실제 발생량 파악은 어려워
인공위성으로 현황 측정 추진
실제 발생량 파악은 어려워
인공위성으로 현황 측정 추진

해양폐기물 문제에 대한 국내외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5년 전보다 54% 이상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수거량 집계만 가능할 뿐 실질적으로 쓰레기가 얼마나 늘고 줄었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모니터링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일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와 한국해양환경공단, 각 지자체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약 12만6000톤으로, 5년 전인 2017년(8만2000톤)에 비해 54% 급증했다.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10년 동안 지속 증가해왔다. 2013년 4만9000톤에 불과했던 집계치는 꾸준히 늘어 2019년 10만톤을 넘어섰고, 2020년 13만8000톤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12만1000톤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 다시 5000톤(4%) 늘어났다.
정부가 직전 해 해양쓰레기 수거량을 비롯해 지역별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통계를 매년 공개하고 있지만, 실제로 국내 연안 일대에 해양쓰레기가 얼마나 발생했는지는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수거량은 정부의 예산 투입 등 노력 여하에 따라 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수치기 때문에 실제 해양쓰레기 발생량 추이를 파악하는 지표로는 적절치 않다. 정부가 5년마다 연평균 해양쓰레기 발생량을 조사하지만 이 역시 추정치에 불과하다. 현장·설문조사, 지역 어민 수를 비롯한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해안선의 길이 등을 고려해 값을 내는 방식이라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것이다. 해양환경공단 관계자는 “추정방식이 복합적이고 어려울 뿐 아니라 쓰레기가 바다에 가라앉거나 없어져 버리는 경우 집계가 불가능해진다”며 “정확한 수치를 산정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8년 조사 당시에는 연평균 14만5000t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해양쓰레기는 △선박사고 유발 △어업 생산성 저감 △관광자원 훼손 △수거·처리 비용 발생 △외교갈등 유발 등 각종 문제점을 야기한다. 특히 바다에 버려진 밧줄과 어망이 선박 추진기에 감기거나 비닐봉지가 냉각수 파이프에 들어가 엔진 부하를 일으키는 등 전체 선박사고 원인의 10%가 해양쓰레기에서 유발된다.
잇따라 불어나는 해양쓰레기로 연근해 경제권이 몸살을 앓자 정부는 인공위성과 항공사진을 통해 정확한 발생 현황을 측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다. 이날 통계청 고위 관계자는 “현장 조사 방식으로는 정확한 해양쓰레기 오염 면적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위성사진을 비롯해 보다 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측정 방식을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은 환경 문제가 국내 현안으로 부각되면서 최근 기초과학연구원(IBS)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과학적인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기후변화에 따른 녹지공간 변화를 인공위성 사진으로 촬영해 분석하는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추후 해양쓰레기 측정으로 분석 방법을 확대하는 방안 검토한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부산 아파트 '분양 절벽'에도 쌓이는 미분양…"경기침체 지속"
-
2
BGF리테일-한국노인인력개발원, 어르신 일자리 창출 협약
-
3
[게시판] NH농협은행 구리도매시장 지점 오전 8시부터 영업
-
4
한국마사회, 산불 피해 복구 지원 기금 3억원 기부
-
5
[게시판] 신한은행, 대학생 '헤이영 서포터즈' 발대식
-
6
장범준, ‘벚꽃연금’으로 산 대치동 건물 ‘51억’ 올랐다
-
7
1조원대 사기 가해자 법정 습격한 50대, 1심서 징역 5년
-
8
"기술기업 리더들 마러라고行…관세 얘기 전하려"
-
9
USTR, 기존무역협정 '현대화' 조언…한미FTA 재개정 가능성에 촉각
-
10
트럼프 관세에…프랑스 "美빅테크 데이터 사용 규제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