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인상한 이유가 ‘이것’ 때문?…기업들, 평균 6.4% 올렸다
김대영 매경닷컴 기자(kdy7118@mk.co.kr)
입력 : 2023.03.03 12:59:22
입력 : 2023.03.03 12:59:22
![](https://wimg.mk.co.kr/news/cms/202303/03/news-p.v1.20230303.8960f8f4db7547d5a25be9fe62d3390e_P1.jpg)
임금을 결정한 기업들이 올해 평균 6.4%를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을 인상한 기업은 10곳 중 8곳이었고 나머지는 동결하거나 삭감했다.
사람인 HR연구소는 3일 ‘2023년도 임금인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기업 332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 기업 중 올해 임금을 결정한 곳은 67.5%로 절반을 넘었다. 이 가운데 임금을 인상한 기업은 175곳으로 78%를 차지했다. 나머지 22%(49곳)는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했다고 답했다.
임금을 인상한 기업들의 평균 인상률은 6.4%로 조사됐다. 인상률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경영진의 결정’이 2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개인 실적 19.4% ▲물가 인상률 18.3% ▲전사 실적 17.7% 순이었다.
임금을 올린 기업이 인상한 이유는 ‘최저임금과 물가 인상 때문’이 69.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직원 사기를 높이고 이탈을 막기 위해서’라는 응답은 44%였다.
사람인은 이와 관련해 “도전적인 환경인데도 기업들이 인재 확보에 고심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해석했다.
이 외에도 ‘관행적으로 인상해오고 있어서’라는 응답이 13.1%로 집계됐다. ‘업계 전반적으로 연봉이 상승하고 있어서’는 11.4%, ‘경영 성과나 재정 상황이 좋아져서’는 10.9%로 나타났다.
![](https://wimg.mk.co.kr/news/cms/202303/03/news-p.v1.20230303.97da7c0510134d829b5ce5aa6ba76a93_P1.jpg)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기업들의 경우 ‘작년 실적이 좋지 않아서’ 이같이 결정했다는 응답이 42.9%(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비용 절감이 필요해서’와 ‘올해 매출 악화가 예상되어서’는 각각 26.5%를 기록했다. ‘재무 상태는 나쁘지 않지만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는 14.3%로 집계됐다.
사람인은 “연봉을 인상하지 못한 기업들은 대부분 최근의 복합 경제위기 여파를 이미 체감했거나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임금을 인상하지 못한 기업 가운데 44.9%는 지난해 초에도 올리지 못했다. 특히 40.8%는 인력 구조조정 시행을 확정했거나 검토 중인 상황이라고 답했다.
응답 기업 중 40.4%는 앞으로 임금 인상 기조와 관련해 ‘현재 수준에서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28%는 ‘인재 확보 경쟁의 결과로 계속해서 인상될 것’이라고 답했다. ‘일부 인기 직종과 기술분야에 따라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는 응답은 17.2%로 조사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속보] 트럼프 "다수 국가 상호 관세 부과, 10~11일께 회의 후 발표"
-
2
캐나다 총리 "트럼프, 진짜로 캐나다 51번째주 합병 원해"
-
3
日총리 "트럼프와 북한 완전한 비핵화 위해 협력하기로"
-
4
우버, 헤지펀드의 지분매입 소식에 주가 급등…장중 8%대↑
-
5
[뉴욕증시-1보] 인플레·상호 관세 원투 펀치에 '휘청'…동반 하락
-
6
아마존, 연례 보고서에서 '다양성·포용성' 언급 삭제
-
7
[뉴욕유가] 트럼프 '상호관세'에 상승분 대거 반납…WTI 0.55%↑
-
8
IMF 이어 '초인플레 해결' 前장관도 아르헨 환율정책 수정 주장
-
9
美연준인사 "美노동시장 건강…트럼프 정책에 상당한 불확실성"
-
10
주유소 휘발윳값 17주만에 소폭 하락…"다음주도 내릴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