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서 韓기업 출렁…계엄령에 폭락·해제결의 후 낙폭 줄어
쿠팡 장중 한떄 9.8% 급락…MSCI코리아 ETF도 7%까지 떨어져
이지헌
입력 : 2024.12.04 03:19:10
입력 : 2024.12.04 03:19:10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 해제를 의결한 4일 새벽 군 병력이 국회에서 철수하고 있다.2024.12.4 utzza@yna.co.kr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을 선포하면서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한국 주요 기업의 주가는 폭락세를 보였다가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가결 이후 낙폭을 줄이는 등 큰 폭으로 출렁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쿠팡은 미 동부시간 오후 12시 40분 기준 전장보다 4.4% 하락한 23.75달러에 거래됐다.
쿠팡은 이날 계엄 선포 소식에 뉴욕증시에서 장중 9.8%까지 낙폭을 키웠다가 국회가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가결처리하면서 낙폭을 줄였다.
미국 주식예탁증서(ADR) 형태로 뉴욕증시에도 거래되고 있는 다른 국내 주요 기업들도 장중에 약세를 나타냈다.
같은 시간 포스코홀딩스(-4.3%)가 4%대 하락했고, KB금융(-2.7%), SK텔레콤(-2.0%), KT(-0.9%), LG디스플레이(-2.4%), 한국전력(-2.9%), 우리금융지주(-1.6%) 등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한국 주요기업 투자상품도 장중 한때 7% 넘게 떨어지기도 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대표 기업들 위주로 투자하는 인덱스펀드인 '아이셰어즈(iShares) MSCI 코리아' 상장지수펀드(ETF)는 같은 시간 2.9% 내림세를 보였다.
한국 시장대표지수인 코스피와 유사하게 움직이는 이 펀드는 계엄 선포 소식에 장중 한때 7.1%까지 낙폭을 키우기도 했다.
전날 코스피는 1.86% 상승 마감한 바 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한국기업 주식이나 투자상품은 원화 가치 변동도 일반적으로 가격에 함께 반영된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한국시간 오전 1시 39분 현재 전날보다 20.7원 오른 1,422.0원을 나타냈다.
환율은 한국시간 4일 오전 12시 20분 달러당 1,442.0원까지 올라 2022년 10월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기도 했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고맙다 유럽”...A+ 받아온 한국 6월 수출 성적표, 관세전쟁 뚫어낸 시장 다변화
-
2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3
동성제약,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4
개장전★주요이슈 점검
-
5
동성제약,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
6
[속보] 6월 소비자물가 2.2% 상승…두달만에 다시 2%대
-
7
증시 오늘 '핫이슈' 연초 이후 지속되는 유통주 상승…저PBR인가 소비반등인가
-
8
포항가속기소장 감사 이어 특별평가도 "사업책임자 교체" 결론
-
9
제천한방엑스포 성공 예감…국내외 317개사, 산업관 입주신청
-
10
“HD현대중공업, 2Q 영업익 컨센서스 부합 전망…상승여력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