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눈앞…'역대 최대'
11월까지 수출액 90억5천만달러…15개월 연속 성장'라면·과자·음료·쌀 가공식품' 수출 모두 최대
신선미
입력 : 2024.12.04 06:00:19
입력 : 2024.12.04 06:00:19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올해 11개월간 농식품 수출액이 90억5천만달러(약 12조6천935억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올해 목표로 제시한 농식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가능성이 커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1∼11월 농식품 수출액이 작년 동기보다 8.1% 증가한 90억5천만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식품 수출액은 1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며 "1∼11월 수출액은 역대 같은 기간 기준으로 가장 많다"고 말했다.
수출액 상위 품목인 라면과 과자류, 음료, 쌀 가공식품 등의 수출액은 모두 최대치를 경신했다.
라면 수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30.0% 증가한 11억3천840만달러(약 1조5천967억원)로 집계됐다.
과자류 수출액은 16.5% 늘어난 7억570만달러(약 9천898억원)이고, 음료 수출액은 14.9% 증가한 6억930만달러(약 8천546억원)다.
냉동 김밥과 즉석밥, 떡볶이 등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억7천500만달러(약 3천857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39.3% 늘었다.
세계 각국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미국, 중국 등 각국 대형 유통매장에 입점한 영향이 크다.
이 밖에 커피 조제품 수출액은 2.8% 증가해 처음으로 3억달러(약 4천208억원)를 넘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금껏 커피 수출은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원료 중심의 기업 간 거래(B2B)였으나 소비자 대상으로 시장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소주와 리큐르는 미국 주류 전문 매장 입점, 중국 내 수요 증가 등으로 수출액이 각각 9천600만달러(1천346억원)와 9억100만달러(1천276억원)로 각각 3.7%, 6.1% 증가했다.
수출 규모는 작지만 브라질에서는 대형 유통매장 연계 판촉을 통해 리큐르 수출액 성장률이 216.4%에 달했다.
몽골에서는 맥주 수출액이 72.7% 증가했다.
신선 농산물 수출액은 13억8천530만달러(약 1조9천430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0.4% 늘었다.
이중 김치는 미국, 유럽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대형 유통매장 입점이 늘어나면서 수출액이 3.9% 증가했다.
포도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수출 시장이 확대되면서 수출액이 20.2% 늘었다.
농식품 수출을 시장별로 보면 미국으로의 수출이 20.0% 증가한 14억4천만달러(약 2조197억원)였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13억7천770만달러(약 1조9천324억원)로 7.0% 증가했고 유럽으로의 수출은 6억1천950만달러(약 8천689억원)로 25.3% 늘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재판매 및 DB금지]
s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중국산 이기기 쉽지 않네”…위기에 빠진 한국기업들, 신용등급 줄강등 현실로
-
2
[단독] 공정위, 인천·경기 사무소 수도권에 추가 설치 추진
-
3
[속보] 노동계 1만1천260원·경영계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
-
4
노동계 1만1천260원·경영계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종합)
-
5
식약처, '무신고 수입' 쿠쿠 전자레인지 오븐팬 회수
-
6
농식품부, '럼피스킨 발생' 프랑스산 소고기 수입 금지
-
7
“양육비 못 받으시면 나라가 먼저 드려요”…올해 하반기에 바뀌는 것들
-
8
극지연구소 김지희 박사, 남극환경보호위원회 부의장 선출
-
9
1만1천260원 vs 1만110원…내년 최저임금 노사 격차 여전히 커(종합)
-
10
“돈 구해도 빚 갚는 데 허덕여”…쇼크 상태에 빠진 한국기업들, 생존 위한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