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美국채금리 급락에...채권투자자 수익률 ‘껑충’

차창희 기자(charming91@mk.co.kr)

입력 : 2023.03.14 16:03:21
<사진=연합뉴스>


미국발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염려로 채권금리가 급락하면서 채권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존의 고강도 금리 인상을 지속하기 어려울 것이란 예상과 더불어 안전자산으로의 ‘머니 무브’로 인해 채권 금리가 급락(가격은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4일 기준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 ETF는 SVB 파산 사태 이후인 최근 3거래일 동안 9.1% 올랐다. 또 다른 장기채 상품인 ‘KBSTAR KIS국고채30년Enhanced’ ETF도 3거래일 동안 8.39% 올랐다. 연간 수익률은 약 11%에 달한다. 장기채를 직접 매수한 경우에도 수익이 기대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발행된 한국 국채 10년물을 직접 매수했을 경우 현재 유통시장 수익률은 7.8%로 단기채(-0.1%) 대비 수익률이 월등했다.

이는 미국 채권 투자 상품도 비슷하다. 14일 기준 미국 국채 30년물에 투자하는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상장지수펀드(ETF)는 SVB 사태 이후인 최근 3거래일 동안 4.78% 상승했다. 해당 ETF의 올해 연간 수익률은 5.69%다.

개인투자자들이 올해 국내 증시에서 가장 많이 사들인 채권형 상품도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ETF으로 545억원 순매수 했다. 삼성자산운용에 따르면 개인투자자 연속 순매수세에 해당 ETF의 순자산 규모도 올해 692억원 증가하며 1516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그 밖에 10년물을 추종하는 ‘TIGER 미국채10년선물’ ETF도 올해 주가가 5%가량 상승했는데 개인투자자들은 올해 110억원 사들였다.

특히 지난해 큰 폭의 기준금리 인상 지속으로 인해 미국 장기채 가격은 고점 대비 40%가량 떨어진 상태다. 때문에 미국 장기채 시장의 투자 매력은 월가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현재 채권 가격이 지난 2014년과 유사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국내 서학개미들도 미국 채권형 ETF의 직접투자를 통한 저가 매수에 나서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세이브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학개미들은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국 장기채의 일일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인 ‘디렉시온 데일리 20년 이상 국채(TMF)’ ETF를 1억2949만달러(약 1692억원) 순매수 했다. 해당 기간 서학개미 순매수 5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TMF ETF는 SVB 사태 이후 최근 2거래일 동안 10.85% 상승했다. 13일 TMF ETF의 거래량은 평소 대비 3배가량 늘며 수급이 개선되기도 했다.

그 외 미국 장기채를 단순 추종하는 ‘아이셰어즈 만기 20년 이상 국채(TLT)’ ETF도 4339만달러(약 567억원) 사들였다. ‘아이셰어즈 7~10년 채권(IEF)’ ETF도 4404만달러(약 575억원) 순매수 했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최근 미국 국채금리 하락이 진행되면서 반대로 채권 가격은 올랐다. 특히 단기채 보다 듀레이션(실효 만기·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 가격 변동 폭이 큰 장기채의 기대 수익률이 높아 투자 수요가 늘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도 이자수익 외 시세차익을 노리기 위해선 단기채 대비 장기채를 노리는 게 낫다고 전망한다.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는 “글로벌 투자자들은 SVB 붕괴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채,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몰려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 상무는 “장기채 금리는 향후 경기 방향성을 판단해볼 수 있는 지표로 최근 지속된 금리 인상으로 인해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게 보는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채권 금리가 하락한 데엔 시장 참여자들이 연준의 금리 인상이 지속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시카고선물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향후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의견이 29.1%에 달했다. 이전엔 빅스텝(0.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절반가량에 달했지만 시장은 현재로선 빅스텝 가능성이 제로(0%)에 가깝다고 판단하고 있다. 경기침체 가능성에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자금이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13일(현지시간) 기준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시초가인 4.515%에서 0.5%포인트 급락한 4% 초반대에 마감했다. 장중 0.5%포인트가 넘는 일일 낙폭은 지난 1987년 10월 이후 가장 큰 수치다. 시장 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도 3.545%를 기록했다. 이달 초 10년물 국채금리는 ‘마의 4%’대에서 등락을 거듭했지만 SVB 사태 이후 3% 중반대까지 급락했다. 14일 오전 기준 한국 3년물, 10년물 국채금리도 각각 0.124%포인트, 0.101%포인트 하락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6 04:0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