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비 5억 달러 이상 추정"
딥시크 주장 557만 달러의 90배…美반도체 연구업체 분석
김태종
입력 : 2025.02.02 03:33:53
입력 : 2025.02.02 03:33:53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낮은 개발 비용과 우수한 성능으로 전 세계 테크업계를 강타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비용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10배는 더 들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일(현지시간)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업체인 세미애널리시스는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 지출이 "현재까지 투입된 비용만 5억 달러(약 7천300억원)를 훨씬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다.
하드웨어 지출은 AI 모델 구동에 필요한 AI 칩, 서버 비용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딥시크가 당초 주장한 총훈련 비용의 약 90배에 달한다.
딥시크는 최신 AI 모델에 대한 보고서에서 엔비디아의 저렴한 AI 칩인 'H80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을 계산한 것으로 557만6천 달러(약 81억3천만원)의 비용이 들었다고 밝혀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세미애널리시스는 "연구개발(R&D) 비용과 운영 및 유지보수에도 상당한 비용이 들어가고 AI 모델 훈련을 위한 '합성 데이터(synthetic data)' 생성에도 엄청난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아울러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최신 AI 모델인 클로드 3.5 소네트 훈련 비용이 "수천만 달러에 달한다"며 "하지만 앤스로픽은 아마존과 구글로부터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는데, 이는 AI 모델 운영과 기업 운영에 얼마나 많은 자금이 필요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 이는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새로운 아키텍처 개발, 데이터 수집, 직원 급여 등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세미애널리시스는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딥시크가 이런 수준의 비용과 성능을 먼저 달성한 점에서 독보적"이라며 "딥시크의 R1 모델이 매우 우수하며, 이 정도의 논리적 추론 능력에 빠르게 도달한 것은 객관적으로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R1은 딥시크가 가장 최근 내놓은 추론 모델로, 딥시크는 R1이 여러 AI 모델 테스트에서 작년 9월 출시한 오픈AI의 'o1'(오원)을 능가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taejong75@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속보] 백악관 “행정명령에 ‘보복조항’도 포함…관세 인상 가능성”
-
2
작년 한국 1인당 GDP 3만6천24달러 추산…일본·대만보다 높아
-
3
해수부 '1억달러 스타품목' 목표에도…전복·넙치·굴 수출 감소
-
4
개발해도 발사비용 스페이스X 8배…차세대발사체 재사용 속내는
-
5
[차이나 역습]② '알테쉬'이어 '중국판 다이소'까지…유통망 장악 나선 중국
-
6
이재용 2심은…'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 항소심 3일 선고
-
7
경상 GDP '깜짝성장' 배경엔 종합물가지수…외환위기 후 최대↑
-
8
경기도, 노인·장애인 취약계층 899가구 주택개조 지원
-
9
해양 보호로 연비·수주까지 챙긴다…한화오션 친환경 선박 기술 공인
-
10
"20대 건설사 지난해 산업재해 1천868명…사망자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