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마감시황
입력 : 2023.03.16 08:37:00
제목 : 뉴욕 마감시황
3/15(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87%)/나스닥(+0.05%)/S&P500(-0.70%) CS 유동성 불안 속 금융시스템 우려 재부각(-),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완화(+)
이날 뉴욕증시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에 이어 크레디트스위스(CS) 유동성 우려가 커진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87%, 0.70%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05% 상승.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에 이어 스위스 2대 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CS)의 유동성 우려가 커지면서 금융시스템 우려가 재부각되는 모습. 최근 자금 유출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CS의 최대 투자자인 사우디국립은행(SNB)이 추가적인 재정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유동성 우려가 커지고 있음. 최근 CS는 2021년과 2022년 연간 결산 보고서와 관련해 회계상 내부 통제에서 '중대한 약점'이 발견됐다고 밝힌 바 있으며, 5개 분기 연속 손실을 기록하고 지난해 4분기에만 1,000억 달러 이상의 고객 자금 유출을 겪어 이미 상황이 악화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짐. 유럽중앙은행(ECB)은 유럽 은행들을 접촉해 CS에 대한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확인하고 있으며, 미국 재무부도 미국 은행들의 CS에 대한 익스포저를 적극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이에 CS 주가가 유럽 시장에서 장중 30%가량 폭락하고, 미국 주식예탁증서(ADR)의 가격도 장중 20% 이상 폭락하면서 은행권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악화됐음.
한편, 골드만삭스는 이날 은행권의 예금 인출 사태를 지적하며 미국의 올해 4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0.3%포인트 내린 1.2%로 하향 조정했음.
다만, 장 후반 스위스중앙은행(SNB)이 CS에 필요시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밝히면서 낙폭은 제한되는 모습. 스위스 당국은 CS는 자본과 유동성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미국 특정 은행들의 문제가 스위스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전이 위험을 야기하지는 않는다고 언급했음.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는 부진한 모습. 美 상무부에 따르면, 2월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4% 감소한 6,979억 달러로 집계됐음. 전월 수정치 3.2% 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섰음. 美 노동부가 발표한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1% 하락해 한달 만에 하락세도 돌아섰음.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0.3% 상승도 크게 밑돌았음. 전년동월대비로도 4.6% 상승해 전월 5.7% 상승에 비해 오름폭을 크게 줄였음. 다만,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PPI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4% 각각 상승해 오름세를 이어갔음. 근원 PPI의 전월대비 상승률은 전월(0.5%)보다 낮아졌지만,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음. 뉴욕주의 제조업 활동을 보여주는 3월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24.6으로 전월의 -5.8보다 더 하락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 -7.8보다 부진한 수치임.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는 더욱 완화되는 모습.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Fed가 3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52.4%,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47.6%를 기록. 금리 동결 가능성이 전일 30.6%에서 증가했음.
이날 국제유가는 은행권 우려 확대 등에 급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3.72달러(-5.22%) 급락한 67.61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은행 리스크 지속 등에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등에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에너지, 화학, 금속/광업, 보험, 소매, 자동차, 기술장비, 복합산업, 은행/투자서비스, 경기관련 소비재, 산업서비스, 운수, 개인/가정용품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유동성 위기 속 CS ADR(-13.94%)이 급락했고, 금융시스템 우려가 재부각되며 퍼스트리퍼블릭뱅크(-21.37%), 팩웨스트 뱅코프(-12.87%) 등이 급락. 웰스파고(-3.29%), 씨티그룹(-5.44%), JP모건체이스(-4.72%) 등 대형 은행들도 큰 폭 하락. 국제유가 급락세 지속 속 엑슨 모빌(-4.97%), 셰브론(-4.33%), 마라톤 오일(-8.48%), 체사피크 에너지(-4.10%) 등 에너지 업체들도 하락. 테슬라(-1.53%)는 수리와 정비를 독점해 고액의 수리비를 청구한다는 이유로 소비자들로부터 집단소송을 당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하락. 다만,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완화 속 애플(+0.26%), 마이크로소프트(+1.78%), 아마존(+1.39%), 알파벳A(+2.28%), 메타(+1.92%), 엔비디아(+0.69%), 넷플릭스(+3.00%) 등 주요 기술주들은 대부분 상승.
다우 -280.83(-0.87%) 31,874.57, 나스닥 +5.90(+0.05%) 11,434.05, S&P500 3,891.93(-0.70%), 필라델피아반도체 2,977.39(-1.09%)
이날 뉴욕증시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에 이어 크레디트스위스(CS) 유동성 우려가 커진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87%, 0.70% 하락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05% 상승.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에 이어 스위스 2대 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CS)의 유동성 우려가 커지면서 금융시스템 우려가 재부각되는 모습. 최근 자금 유출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CS의 최대 투자자인 사우디국립은행(SNB)이 추가적인 재정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유동성 우려가 커지고 있음. 최근 CS는 2021년과 2022년 연간 결산 보고서와 관련해 회계상 내부 통제에서 '중대한 약점'이 발견됐다고 밝힌 바 있으며, 5개 분기 연속 손실을 기록하고 지난해 4분기에만 1,000억 달러 이상의 고객 자금 유출을 겪어 이미 상황이 악화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짐. 유럽중앙은행(ECB)은 유럽 은행들을 접촉해 CS에 대한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확인하고 있으며, 미국 재무부도 미국 은행들의 CS에 대한 익스포저를 적극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이에 CS 주가가 유럽 시장에서 장중 30%가량 폭락하고, 미국 주식예탁증서(ADR)의 가격도 장중 20% 이상 폭락하면서 은행권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악화됐음.
한편, 골드만삭스는 이날 은행권의 예금 인출 사태를 지적하며 미국의 올해 4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0.3%포인트 내린 1.2%로 하향 조정했음.
다만, 장 후반 스위스중앙은행(SNB)이 CS에 필요시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밝히면서 낙폭은 제한되는 모습. 스위스 당국은 CS는 자본과 유동성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미국 특정 은행들의 문제가 스위스 금융시장에 직접적인 전이 위험을 야기하지는 않는다고 언급했음.
이날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는 부진한 모습. 美 상무부에 따르면, 2월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4% 감소한 6,979억 달러로 집계됐음. 전월 수정치 3.2% 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섰음. 美 노동부가 발표한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0.1% 하락해 한달 만에 하락세도 돌아섰음.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0.3% 상승도 크게 밑돌았음. 전년동월대비로도 4.6% 상승해 전월 5.7% 상승에 비해 오름폭을 크게 줄였음. 다만,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PPI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4% 각각 상승해 오름세를 이어갔음. 근원 PPI의 전월대비 상승률은 전월(0.5%)보다 낮아졌지만,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음. 뉴욕주의 제조업 활동을 보여주는 3월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24.6으로 전월의 -5.8보다 더 하락했음. 이는 시장 예상치 -7.8보다 부진한 수치임.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는 더욱 완화되는 모습.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Fed가 3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52.4%,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47.6%를 기록. 금리 동결 가능성이 전일 30.6%에서 증가했음.
이날 국제유가는 은행권 우려 확대 등에 급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3.72달러(-5.22%) 급락한 67.61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은행 리스크 지속 등에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등에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에너지, 화학, 금속/광업, 보험, 소매, 자동차, 기술장비, 복합산업, 은행/투자서비스, 경기관련 소비재, 산업서비스, 운수, 개인/가정용품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유동성 위기 속 CS ADR(-13.94%)이 급락했고, 금융시스템 우려가 재부각되며 퍼스트리퍼블릭뱅크(-21.37%), 팩웨스트 뱅코프(-12.87%) 등이 급락. 웰스파고(-3.29%), 씨티그룹(-5.44%), JP모건체이스(-4.72%) 등 대형 은행들도 큰 폭 하락. 국제유가 급락세 지속 속 엑슨 모빌(-4.97%), 셰브론(-4.33%), 마라톤 오일(-8.48%), 체사피크 에너지(-4.10%) 등 에너지 업체들도 하락. 테슬라(-1.53%)는 수리와 정비를 독점해 고액의 수리비를 청구한다는 이유로 소비자들로부터 집단소송을 당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하락. 다만,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완화 속 애플(+0.26%), 마이크로소프트(+1.78%), 아마존(+1.39%), 알파벳A(+2.28%), 메타(+1.92%), 엔비디아(+0.69%), 넷플릭스(+3.00%) 등 주요 기술주들은 대부분 상승.
다우 -280.83(-0.87%) 31,874.57, 나스닥 +5.90(+0.05%) 11,434.05, S&P500 3,891.93(-0.70%), 필라델피아반도체 2,977.39(-1.09%)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