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금지에도 '진격의 딥시크'…로봇·전기차까지 서비스 확장
이봉석
입력 : 2025.02.08 10:32:58
입력 : 2025.02.08 10:32:58

[딥시크 홈페이지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한국을 포함해 해외에서 잇달아 접속차단 등 금지 조치를 받는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PC는 물론 로봇과 전기차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버는 최근 웨이보(중국판 엑스)를 통해 자사 샤오톈 AI 어시스턴트와 딥시크 AI 모델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문장 독해와 코드 생성, 수학, 추론 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레노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샤오톈 서비스를 태블릿과 스마트폰 등 다른 제품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UB테크는 자사 로봇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로봇이 복잡한 현실세계 환경에서 지시를 이해하도록 돕고 공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 지리자동차는 딥시크의 RI 추론 모델을 자사가 개발한 신루이 AI 모델에 탑재하고 있다.
운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밖에 중국 게임사 넷이즈의 온라인 교육 자회사 유다오와 장쑤헝루이제약도 딥시크 도입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비용상 이점과 오픈소스라는 접근 방식이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anfour@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레미콘업계 “공사현장서 레미콘 직접 생산…레미콘업체 생존권 위협”
-
2
매경, 중학교 경제교과서 만든다
-
3
"트럼프 효과도 별거 없네" 美코인 지고 中코인 뜬다
-
4
[표] 외국환율고시표
-
5
삼전·하이닉스도 출퇴근길에 거래
-
6
“국민연금 월200만원은 男 얘기”...40만원도 못 받는 여성 가입자들 계속 늘어
-
7
美는 아직 겨울 … 韓 반도체는 봄바람 분다
-
8
한동훈 “국민연금 86세대 꿀 빨고 청년세대는 독박...거부권은 이럴때 써야”
-
9
"비핵심 사업 매각땐 자산·인력 분리계획 먼저 세워라"
-
10
AI 다음은 뷰티테크·암치료 기술 … 저평가 中증시에 기회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