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신용카드 연체율 두 달째 3.4%…카드 사태 후 첫 고공행진
4대 금융 카드사 연체율도 1.5% 넘어…3년 연속 상승세취약 다중채무자들, 불황에 소액 급전조차 못 갚아
한지훈
입력 : 2025.02.09 06:05:02
입력 : 2025.02.09 06:05:02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현금 서비스와 카드론 등 은행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카드 사태 이후 최악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신용 점수가 낮은 취약 차주들이 1금융권은 물론 2금융권에서도 대출받기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이자율이 높은 단기 카드 대출을 이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은 지난해 10월 말에 이어 11월 말에도 3.4%로 집계됐다.
일반은행은 금융지주 아래서 카드 사업을 분사한 시중은행을 제외하고 카드업을 겸영하는 나머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들의 카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3.4%를 웃돈 것은 카드 사태 막바지인 2005년 7월 말(3.6%)과 8월 말(3.8%)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연체율은 2014년 11월 말 3.4%로 치솟은 적 있지만 다음 달에는 2.6%로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2월, 5월, 8월 말에도 3.4%를 기록했으나 다음 달에는 각각 3.1%로 이내 주춤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에 공을 들이는데도 연체율이 내려가지 않고 두 달째 유지된 것은 그만큼 연체 증가세가 강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하루 이상 원금 연체를 기준으로 한 일반 은행의 카드 연체율은 2023년 12월 말 2.8%에서 2024년 1월 말 3.0%로 올라선 뒤 계속 3%대에 머물러왔다.
4대 금융지주 계열 카드회사들(KB국민·신한·하나·우리카드)의 연체율은 상대적으로 양호하지만, 예년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이들의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 평균 1.53%로 집계됐다.
하나카드가 1.87%로 가장 높았고, 신한카드(1.51%), 우리카드(1.44%), KB국민카드(1.31%) 등의 순이었다.
이들의 연말 기준 연체율은 2020년 말 1.03%에서 2021년 말 0.80%로 떨어졌으나 이후 2022년 말 1.04%, 2023년 말 1.34%, 지난해 말 1.53% 등으로 3년 연속 상승세다.
4대 금융 카드사 대출 연체율 추이(단위:%) ※ KB·신한·하나·우리금융 자료 취합. | |||||
구분 | 2020년 말 | 2021년 말 | 2022년 말 | 2023년 말 | 2024년 말 |
KB국민 | 0.94 | 0.82 | 0.92 | 1.03 | 1.31 |
신한 | 1.04 | 0.80 | 1.04 | 1.45 | 1.51 |
하나 | 1.21 | 0.93 | 0.98 | 1.67 | 1.87 |
우리 | 0.91 | 0.66 | 1.20 | 1.22 | 1.44 |
평균 | 1.03 | 0.80 | 1.04 | 1.34 | 1.53 |
1금융권은 근래 대출 심사를 강화,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고 신용점수가 높은 차주들 위주로 신용대출을 내주는 경향을 보였다.
고금리 장기화로 자산 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도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신규 대출 영업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지속됐다.
실제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2023년 11월 말 106조2천555억에서 지난해 11월 말 97조1천75억원으로 1년 사이 8.6% 감소했다.
그러다 보니 이미 대출을 최대한 당겨쓴 다중 채무자들이 마지막으로 카드 대출을 받았다가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말 은행 신용카드 연체율은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다시 상승할 여지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체율이 3% 중후반대로 올라서면 카드 사태 이후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도 있다.
종전 최고치는 2005년 8월의 3.8%였다.
hanj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中, 내일부터 대미 보복관세…퇴로 안보이는 미중 무역전쟁
-
2
韓기업 '딥시크 우려' 대응 제각각…중국발 해킹 가능성도 ↑
-
3
광주시,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2천700억원 지원
-
4
제22서경호 구조자 7명 중 3명 사망…선장 포함 한국 선원들
-
5
정부·공공기관·기업 전방위 주의령에 딥시크 앱 사용 급감
-
6
커지는 딥시크 '개인정보 빨대' 논란…'PC내 설치' 대안 부상
-
7
전세대출 더 조인다…소득 낮고 기존대출 많으면 한도축소
-
8
'악성 미분양' 쌓이는 지방…'시름' 커지는 지역 경제
-
9
“20대는 대체투자·주식, 30대는 해외주식, 40대는 국내주식 선호”
-
10
공인중개사협, '엇박논란' KARIS 개편…새 집값 지수 연내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