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세계 TV 출하량 한국 첫 추월…매출 점유율도 맹추격

옴디아 TV 시장 분석…삼성·LG, 1위는 유지했지만 점유율↓
한지은

입력 : 2025.02.23 07:03:00
(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기자 =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의 TV 출하량이 한국을 처음 앞선 가운데 한국과의 매출 격차도 빠르게 좁히며 매섭게 추격하고 있다.

TCL TV
[연합뉴스 자료사진]

23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작년 출하량 기준 중국 TV 브랜드인 TCL·하이센스·샤오미의 합산 점유율은 31.3%로, 삼성전자·LG전자의 점유율 28.4%를 앞질렀다.

중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2020년 24.4%에서 2021년 26.3%, 2022년 28.4%, 2023년 29.6%를 기록한 뒤 지난해 처음 30%대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한국의 점유율은 2020년 33.4%에서 2021년 32.6%, 2022년 31.3%, 2023년 29.8%로 내려앉는 모습을 보였다.

물량 공세에 힘입어 중국의 매출 점유율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매출 기준으로 지난해 삼성전자가 전체 TV 시장에서 19년 연속,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시장에서 12년 연속 1위에 올랐지만, 중국과의 격차는 감소했다.

전체 시장의 매출 점유율을 보면 삼성전자는 2020년 31.9%에서 2024년 28.3%로, LG전자는 16.5%에서 16.1%로 하락했다.

한국을 맹추격하는 TCL은 7.4%에서 12.4%로 상승했다.

하이센스도 지난해 점유율 10.5%를 기록하며 10%대로 올라섰다.

이에 따라 한국(삼성전자·LG전자)과 중국(TCL·하이센스)의 점유율은 2020년 48.4%대 13.5%에서 지난해 44.4%대 22.9%로 좁혀졌다.



LG전자, 전 세계 OLED TV 12년 연속 1위 위업
[LG전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은 특히 75인치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 약진했다.

이 시장에서도 삼성전자가 1위(28.7%), LG전자가 2위(15.1%)로 입지를 굳혔지만, 최근 5년간 점유율은 두 기업 모두 하락했다.

반면 TCL과 하이센스는 2020년 각각 5.1%, 4.2%였던 점유율을 15.0%, 14.6%로 끌어올리며 입지를 강화했다.

2천500달러 이상 고가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굳건한 경쟁력을 보였다.

1위인 삼성전자가 절반에 가까운 49.6%의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LG전자도 30.2%로 뒤를 이었다.

TCL과 하이센스의 점유율은 각각 1.6%, 0.9%에 불과했다.

중국은 자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발판 삼아 저가 시장을 중심으로 물량 공세를 이어오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능과 콘텐츠를 무기로 초격차 전략을 짜고 있지만, 중국의 기술력 추격도 만만치 않다.

삼성전자, 최신 AI 기술 탑재 55형 OLED TV 신제품 출시
[삼성전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감안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안방 시장인 한국에서 점유율을 빼앗기는 상황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시각이다.

이충훈 유비리서치 대표는 "앞으로 중국과의 가격 경쟁은 더 심화할 것"이라며 "국가 차원의 보조금 지급, 대(對)중 관세 부과 등 시장을 지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writer@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23 15:1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