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 올라…제조업·비제조업 동반 상승
1월 중소제조업 평균 가동률, 1개월 전보다 3.0%포인트 낮아져
성혜미
입력 : 2025.02.27 12:00:06
입력 : 2025.02.27 12:00:06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다음 달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가 74.7로 이달(67.5)보다 7.2포인트 올랐다고 27일 밝혔다.
이 지수는 지난해 3월(81.8) 대비로는 7.1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 12∼18일 3천72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지수는 80.7로 이달보다 5.5포인트 상승했고 비제조업은 7.9포인트 오른 72.1로 나타났다.
건설업(65.8)은 0.7포인트, 서비스업(73.5)은 9.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제조업에서는 섬유제품(63.6→74.9)과 기계 및 장비(72.3→82.3)를 중심으로 20개 업종이 이달 대비 오른 반면 의복·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과 기타 운송장비 등 2개 업종은 하락했다.
전기장비는 보합 수준이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65.8)이 0.7포인트, 서비스업(73.5)이 9.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서비스업종에선 예술·스포츠·여가 관련(68.9→83.4)과 도매와 소매업(58.7→69.8) 등 10개가 모두 올랐다.

업황전망 SBHI
항목별로는 내수판매가 68.0에서 74.4로 6.4포인트 개선됐고, 수출과 영업이익 지수도 높아졌다.
자금 사정은 68.7에서 73.3으로 4.6포인트 올랐다.
역계열로 집계되는 고용(96.2→95.4)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3년간 같은 달 항목별 지수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 원자재는 개선된 반면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에서 수출과 역계열 추세인 고용은 개선됐지만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소기업 경영상 애로 요인으로는 매출 부진이 53.2%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36.0%), 원자재 가격 상승(30.5%), 업체 간 경쟁 심화(23.9%) 등이 뒤를 따랐다.
지난달 중소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69.6%로 1개월 전보다 3.0%포인트, 전년 같은 달보다 2.5%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기업 규모별로는 소기업은 전달보다 2.3%포인트, 중기업은 3.7%포인트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유형별로 일반 제조업은 2.7%포인트, 혁신형 제조업은 3.5%포인트 하락했다.

noanoa@yna.co.kr(끝)
이 지수는 지난해 3월(81.8) 대비로는 7.1포인트 하락했다.
이번 결과는 지난 12∼18일 3천72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 지수는 80.7로 이달보다 5.5포인트 상승했고 비제조업은 7.9포인트 오른 72.1로 나타났다.
건설업(65.8)은 0.7포인트, 서비스업(73.5)은 9.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제조업에서는 섬유제품(63.6→74.9)과 기계 및 장비(72.3→82.3)를 중심으로 20개 업종이 이달 대비 오른 반면 의복·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과 기타 운송장비 등 2개 업종은 하락했다.
전기장비는 보합 수준이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65.8)이 0.7포인트, 서비스업(73.5)이 9.5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서비스업종에선 예술·스포츠·여가 관련(68.9→83.4)과 도매와 소매업(58.7→69.8) 등 10개가 모두 올랐다.

항목별로는 내수판매가 68.0에서 74.4로 6.4포인트 개선됐고, 수출과 영업이익 지수도 높아졌다.
자금 사정은 68.7에서 73.3으로 4.6포인트 올랐다.
역계열로 집계되는 고용(96.2→95.4)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3년간 같은 달 항목별 지수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 원자재는 개선된 반면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비제조업에서 수출과 역계열 추세인 고용은 개선됐지만 다른 항목은 이전 3년 평균치보다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소기업 경영상 애로 요인으로는 매출 부진이 53.2%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인건비 상승(36.0%), 원자재 가격 상승(30.5%), 업체 간 경쟁 심화(23.9%) 등이 뒤를 따랐다.
지난달 중소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69.6%로 1개월 전보다 3.0%포인트, 전년 같은 달보다 2.5%포인트 각각 낮아졌다.
기업 규모별로는 소기업은 전달보다 2.3%포인트, 중기업은 3.7%포인트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유형별로 일반 제조업은 2.7%포인트, 혁신형 제조업은 3.5%포인트 하락했다.

noano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9월부터 예금자보호한도 1억으로...어디까지 보호 받을 수 있나
-
2
노동 공약 정면승부…이재명 “포괄임금제 전면금지” 김문수 “중대재해법 개정해야”
-
3
트럭이 펜스 뚫고 10m 아래 건물로 추락…4명 부상
-
4
트럼프 "인도, 미국산 상품에 '무관세' 제안"(종합)
-
5
변동형 주담대 금리 내린다…코픽스, 34개월 만에 최저 수준
-
6
서울 용산구 '나인원한남' 250억원에 거래…올해 최고가
-
7
세아제강지주 1분기 영업이익 650억원…작년보다 4.9% 감소
-
8
윤동한 회장 남매 갈등 중재 나서…"현 경영구조 변함 없다"
-
9
'전력망 소재' 티씨머티리얼즈 코스닥 상장
-
10
두나무 1분기 순이익 3205억…21% 증가
05.15 20:4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