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美에 車·공산품 무관세 제안…美 "부가세 내려라"
15일 철강관세 보복 조치하되 규모 축소 시사…협상 가능성 불투명
정빛나
입력 : 2025.04.08 00:37:41
입력 : 2025.04.08 00:37:41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이 7일(현지시간) 자동차를 포함한 모든 공산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제안한 사실을 공개하며 미국에 협상을 거듭 촉구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한 요나스 가르 스퇴르 노르웨이 총리와 공동회견에서 "미국과 협상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실제로 (미측에) 상호 무관세(zero-for-zero tariffs)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이어 열린 별도 기자회견에서 자동차와 모든 공산품이 상호 무관세 적용 대상이라고 확인했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언제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2월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첫 회동 때부터 가능성을 검토해왔다"고 답했다.
특히 자동차 관세와 관련, "승용차는 EU가 (대미 수출 시) 더 낮은 관세를 적용받는 건 사실이지만, 픽업트럭의 경우 미국의 관세율이 최대 25%"라고 지적하면서 "이것이 문제라면 대화를 통해 모두 0% 관세율로 내릴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EU는 현재 미국산 자동차에 10% 관세를 부과한다.
EU산 자동차는 미국 수출 시 2.5%로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다가 이달 3일 미국의 자동차 관세 발효로 25%포인트 추가돼 27.5%로 인상됐다.

(룩셈부르크 AFP=연합뉴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담당 집행위원이 7일(현지시간)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EU 무역장관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2025.4.7 photo@yna.co.kr [재판매 및 DB 금지]
협상 전망은 밝지 않다.
미국이 기존 관세뿐 아니라 비관세 장벽도 문제 삼고 있는 탓이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이날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의 입장 발표가 나온 직후 미 CNBC 방송에 출연해 "EU를 향해 하고 싶은 말은, 그런 발표를 할 때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겠다는 점도 밝혀달라는 것"이라고 반응했다.
나바로 고문은 "당신들(EU)의 19% 부가가치세(VAT·이하 부가세)를 낮추고 세계무역기구(WTO) 결정을 존중해 우리의 돼지고기, 옥수수, 쇠고기를 유럽에 수출할 수 있게 하라"고 촉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여러 차례 불만을 표출해온 EU의 부가세뿐 아니라 농식품 부문 각종 수입 규제를 철폐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부가세 등 비관세 장벽과 관련한 질문에 "부가세는 우리 회원국들을 위한 중요한 수입원"이라며 "부가세 체계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 "부가세가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충분한 시간과 에너지를 들여 미국 측에 설명을 해왔다.
부가세를 도입 중인 나라는 우리뿐이 아니며 전 세계 160여개국"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부문 비관세 장벽에 대해선 "논의할 준비가 됐다"며 "결국은 서로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EU 27개국은 이날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무역장관회의에서도 미국과 협상이 우선이라는 데 뜻을 모았다.
동시에 협상 결렬에 대비해 EU 이익을 보호하는 수단도 마련해두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집행위는 이날 오후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보복관세 대상 명단을 확정해 회원국에 전달할 계획이다.
이 안은 9일 회원국 표결을 거쳐 EU 전체 인구의 65% 이상에 해당하는 15개국 이상이 반대하지 않으면 오는 15일, 내달 15일 두 단계에 나눠 시행된다.
다만 집행위는 전체적인 보복관세 규모는 당초 계획보다 축소하겠다고 시사했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긴밀히 회원국들의 의견을 수렴했기 때문에 (처음 발표한) 260억 유로(약 42조원) 규모까지는 아닐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원국 우려를 반영해 역풍이 우려되는 품목은 제외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EU의 철강관세 보복 패키지에 버번위스키가 포함됐다는 사실을 문제 삼아 모든 EU산 주류에 2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해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협상 불발에 대비한 상호관세 및 자동차 관세 대응 조치와 관련해서는 "모든 옵션이 고려 대상"이라며 원론적으로 답변했다.
shin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삼성전자, 오늘 1분기 성적표 공개…영업이익 5조원 웃돌까
-
2
[1보] 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에 급등락…다우 0.9%↓·나스닥 0.1%↑
-
3
[뉴욕증시-1보] 최저점 탐색·극적 급등락…나스닥 반등 성공 마감
-
4
"애플, 관세 부담 줄이려 인도서 더 많은 아이폰 美에 공급"
-
5
[2보] 뉴욕증시, 기록적 롤러코스터 장세…나스닥 반등 마감
-
6
EU, 美에 공산품 무관세 제안…"버번위스키 보복계획도 철회"(종합)
-
7
트럼프 "검토하고 있지 않다"…상호관세 유예설 부인
-
8
[뉴욕유가] 中에 추가 관세 엄포 놓는 트럼프…WTI 2%↓
-
9
“일본 여성이 특히 더 좋아해요”...해외서 인기 폭발하고 있다는 이 기업은
-
10
'블랙스완' 헤지펀드 CIO "美 증시 80% 폭락 가능…이번은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