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셀바이오 "'혈관성 치매 줄기세포 치료' 효과 입증"
국제 학술지 셀즈 '최우수 연구자상' 잠정 선정 통보
김호천
입력 : 2025.05.12 09:00:05
입력 : 2025.05.12 09:00:05

Barnes maze 및 Y-maze 행동 분석 결과, MMSC 처리군에서 각각 기존 치료제인 도네페질 처리군 대비 33.0% 및 16.0% 상향, BMSC 처리군 대비 60.0% 및 25.0% 등 우수한 약리적 효과가 확인됐다.NT(정상군), VD(혈관성 치매질환 모델군), MMSC(MMSC 줄기세포 처리군), BMSC(골수줄기세포 처리군), Done(도네피질 치료제 처리군).[미래셀바이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제주대학교 학내 바이오 벤처기업인 미래셀바이오는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MMSC: Multipotent Mesenchymal Stem Cell)가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로 인한 인지 및 행동 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12일 밝혔다.
제주대 바이오메티컬정보학과 박세필 교수와 건국대 줄기세포재생공학과 이만열 교수,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신경외과 오재상 교수의 이 같은 공동 연구 결과는 세포·분자생물학 분야의 국제적 권위 학술지인 셀즈(Cells)에 게재됐다.
일반적으로 만성퇴행성 뇌질환인 치매는 알츠하이머질환(69%)과 혈관성 치매(21%)로 구분된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만성 뇌 허혈성 손상을 유도한 혈관성 치매 쥐의 뇌실에 MMSC를 주입한 결과 뇌혈관 손상에 의한 행동 및 인지 기능 저하가 정상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됐다.
또 뇌혈관의 안정성과 혈관-뇌 장벽(BBB)의 형성을 촉진하는 등의 유의미한 개선 효과도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기존 치료 방법인 도네페질 치료와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BMSC) 치료보다 효과가 뛰어난 것이다.
특히 MMSC는 혈관성 치매를 유발하는 신호전달 관련 유전자인 록(RocK)1과 록2의 신호 경로를 제한해 신경 염증과 세포 사멸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혈관-뇌 장벽 유지, 신생혈관 생성 유도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효과는 관련 유전자 분석과 조직염색 분석을 통해 해당 기전이 분자 수준에서 입증됐다.
김은영 미래셀바이오 공동대표는 "이번 연구에 사용된 MMSC는 우리 회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해 보건복지부로부터 보건신기술 인증(NET 제197호)을 받은 줄기세포로, 기존 간질성방광염 임상 1/2a상에서 질환 치료 효능이 이미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혈관성 치매 연구를 통해 MMSC가 중추신경계 질환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가능성이 새롭게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미래셀바이오 설립자인 박세필 교수는 "셀즈에서 이번 연구가 잠정적으로 최우수 연구자상(Best Researcher Award)으로 선정됐다고 알려왔다"며 "향후 치매를 포함한 다양한 난치성 신경·면역질환 치료제로의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기대했다.
미래셀바이오는 해당 연구 결과에 대해 관련 용도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khc@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바이오솔루션, 주당 2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
-
2
휴엠앤씨, 80% 비율의 감자 결정
-
3
“과감하니 돈 벌었죠, 쓸어 담는중”…金 힘 못쓸때 기세등등한 비트코인
-
4
국내 유일 대형항공사 대한한공 경영권 분쟁 가능성에 ··· 대한항공 모회사 한진칼 상한가 직행 [특징주]
-
5
모티브링크(463480) 소폭 상승세 +3.02%
-
6
변동성완화장치(VI) 발동 종목, 발동횟수 기준
-
7
‘중국판 M7’ 투자···PLUS 차이나AI테크TOP10 신규 상장
-
8
[MK시그널] 풍력발전 위축 우려 뒤집은 씨에스윈드 수익률 18%
-
9
오후장★테마동향
-
10
“美 휴머노이드 산업, 스마트폰 이후 최대 혁신될 것”
05.13 16:0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