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따라 멋따라] 라면부터 항공권까지…잇단 '에러 페어'가 횡재로

비즈니스를 이코노미석 가격에 판 아시아나, 늦은 대응 '도마' 캐세이, 1천800만원짜리 일등석을 170만원에 푼 뒤 '통 큰 인정'
성연재

입력 : 2025.05.24 08:00:04 I 수정 : 2025.05.24 09:09:27
(서울=연합뉴스) 성연재 기자 = 최근 유통업계에서 컵라면 가격이 터무니없이 낮게 책정되는 바람에 대규모 주문 대란이 벌어지는 일이 발생, 세간의 시선을 끌었다.

쿠팡 판매 페이지에 육개장 사발면이 개당 140원꼴의 '말도 안 되는' 가격에 올라오면서 소비자들이 몰린 것이다.

정상가의 5분의 1도 되지 않는 수준이었다.

이 소식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타고 삽시간에 퍼졌고, 불과 10여분 만에 수만 건의 주문이 쏟아졌다.

쿠팡 측은 자사의 실수임을 인정하며, 재고가 확보된 주문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배송하겠다고 밝혔다.

비슷한 사례는 항공업계에서도 반복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환불 안내문 [항공 커뮤니티 캡쳐]

최근 에어인디아가 인천∼두바이 노선의 비즈니스석 항공권을 이코노미석 요금에 판매하는 일이 발생했다.

수백만원 상당의 좌석이 수십만원에 풀리자, 일명 '에러 페어'(Error Fare·실수 운임)로 알려지며 예약이 급증했다.

지난 2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인천발 런던행 비즈니스클래스 항공권을 이코노미석 가격으로 판매하는 일이 벌어졌다.

무려 300여명의 승객이 몰려들었고, 항공사의 인정 여부에 관심이 쏟아졌다.


공항 셀프 체크인 카운터 [사진/류효림 기자]

아시아나항공은 처음에는 '정상 운임보다 현저히 낮은 운임으로 판매가 되어 환불을 도와드리겠다'는 안내 문구를 배포했다가 많은 항의를 받았다.

아시아나항공은 한발 물러나 '일정 변경이 불가능한 비즈니스석 항공권으로 바꿔서 재발급하겠다'고 밝혔다가 또다시 항의를 받았다.

아시아나는 이후 원래대로 일정 변경이 가능한 비즈니스석 항공권으로 발권해주겠다는 안내문을 최종 공지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이같은 사례가 흔치 않아 결정에 시일이 많이 소요됐다"면서 "불편을 끼쳐 죄송하며,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은 항공권 특성상 호텔 예약 등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들어 항공사의 신속한 조치가 아쉬웠다는 반응이다.

항공권은 글로벌 유통망(GDS·Global Distribution System)을 통해 실시간으로 판매된다.

이 과정에서 수요와 공급, 환율, 요금, 클래스 등의 변수에 따라 가격이 자동으로 조정되며, 시스템 오류나 입력 실수가 겹치면 '에러 페어'가 발생할 수 있다.


캐세이퍼시픽 비즈니스석 [캐세이퍼시픽항공 제공]

문제는 이러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 항공사의 대응 방식이다.

아시아나의 경우 대응책이 늦었다는 것이 시장의 반응이다.

에러 페어 사례에서 가장 '통 큰' 인정은 2019년 발생한 캐세이퍼시픽 항공의 퍼스트 클래스 좌석 인정 건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이 항공사는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홍콩으로 향하는 일등석 항공권을 정가의 10분의 1 가격에 잘못 판매했다.

평소라면 약 1천800만원에 달하는 초고가 티켓이 약 170만원에 풀린 셈이다.

이 오류는 항공 마니아들 사이에서 급속히 확산했고, 수많은 예약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캐세이퍼시픽은 예약을 모두 인정하며 항공권을 그대로 발권했다.

항공사 측은 "단기적인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소비자와의 약속을 지키는 것이 신뢰를 지키는 길이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에러 페어 사례가 반복되고 있는 만큼, 명확한 법적 기준과 소비자 보호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한 항공사 지사장은 "캐세이퍼시픽의 약속 이행은 단순한 미담을 넘어, 고객 신뢰가 브랜드 자산이라는 사실을 보여준 상징적인 결정"이라며 "소비자 보호 관련 법을 준수하기 위해서라도 항공사가 신속한 결정을 내려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polpori@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4 13:5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