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플로우] 미국 주식 팔고 채권으로 갈아타는 서학개미
미국채권 한주간 8천200억원 순매수…미국주식은 4주 연속 '팔자'파킹자금 MMF 잔고 230조·CMA 88조5천억 제자리…예탁금도 큰 변동없어
김태균
입력 : 2025.05.24 08:00:00
입력 : 2025.05.24 08:00:00

(로이터=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미국 채권시장이 이례적인 변동성을 보이면서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 미국 채권 매수 열풍이 불고 있다.
한동안 대세였던 미국 주식 투자 붐이 최근 주춤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대거 미국 채권으로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는 최근 일주일(16∼22일) 동안 미국 채권을 5억9천600만달러(8천180억원)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직전 주(9∼15일) 3억7천700만달러, 그 전주(2∼8일) 1억8천700만달러어치의 미국 채권을 순매수한 데 이어 갈수록 매수세가 강해지는 모습이다.
미국 채권 순매수액은 최근 2주 사이에 3배 이상으로 불어났다.
이런 흐름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감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 탓에 안전자산으로서 미국 국채의 신뢰도가 크게 흔들리면서 국채 금리가 급등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를 국내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했을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인다.
3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안이 미 하원을 통과한 지난 22일(현지시간) 연 5.16%까지 올라 2023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는 연 4.63%까지 치솟아 조만간 5% 선을 넘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국채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중구난방 관세 정책, 무디스의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감세안으로 인한 연방 재정적자 우려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금융계에서 '헤지펀드의 대부'로 불리는 레이 달리오는 "우리는 채권시장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정면 경고하기도 했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자산을 줄이려는 글로벌 추세 때문에 미국 채권이 흔들리지만 사실 이를 대체할 자산이 딱히 없는 것도 사실"이라며 "이런 타이밍 때문에 해외 투자를 꾸준히 하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미국 주식 대신 채권으로 자산을 옮기려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난달 말부터 본격화된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매도세는 4주째 이어졌다.
국내 투자자는 최근 한주간(16∼22일) 미국 주식을 4억5천700만달러(6천267억원) 순매도했다.
직전주(9∼15일)의 순매도액 7억4천900만달러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팔자' 흐름이 뚜렷했다.
미국 증시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데다 '셀 아메리카'(미국 자산 매도) 여파로 인한 달러 가치 하락으로 환차손 압박까지 더해져 미국 주식 매도세가 계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국내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22일 기준 56조2천129억원으로 한 주간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대표적 파킹자금인 머니마켓펀드(MMF) 설정액은 한때 사상 처음 233조원대로 늘었다 230조134억원으로 한주간 이렇다할 변동이 없었다.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고도 88조5천422억원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tae@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