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뷰]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차분해진 시장…환율·금리에 시선 집중
美, EU 관세 50% 유예에 코스피 2% 상승…뉴욕증시 휴장 속 숨고르기 전망원/달러 환율 7개월만 최저…외인 순매수 지속성 결정할 환율·美국채금리 '촉각'
곽윤아
입력 : 2025.05.27 08:05:40
입력 : 2025.05.27 08:05:40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코스피가 전장보다 52.31포인트(2.02%) 오른 2,644.40에 장을 마감한 26일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2025.5.26 mon@yna.co.kr
(서울=연합뉴스) 곽윤아 기자 = 27일 국내 증시는 전날 급등에 따른 부담에 숨고르기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내림세를 보이는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얼마나 지속될지 주목된다.
전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52.31포인트(2.02%) 오른 2,644.40에, 코스닥 지수는 9.29포인트(1.30%) 상승한 725.27로 장을 마쳤다.
미국이 다음 달부터 유럽연합(EU)에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가, 이를 7월 9일로 유예하겠다고 밝히자 국내 증시는 모처럼 시원한 상승세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 생산 스마트폰에 대한 25% 관세 부과 경고에도 삼성전자[005930] 주가가 0.92% 상승 마감한 점이 눈에 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위협은 국가별 협상을 위한 수단에 가깝다는 점에 시장이 컨센서스를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즉 국가 간 협상 과정에서 반복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은 시장에 단기 노이즈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며, 증시가 관세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국면은 지나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날 국내 증시는 전날의 급등분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숨고르기 장세를 보일 수 있다.
간밤 미국 증시가 메모리얼데이(현충일)를 맞아 휴장한 가운데 증시 방향성을 좌우할 큰 재료는 없는 상황이다.
한편 전날의 상승세가 코스피가 박스권 움직임을 끊어낼 서막이 될지는 앞으로의 원/달러 환율 추이와 미국 국채 금리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11.2원 내린 1,364.4원으로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한때 1,360.4원까지 떨어져 7개월 만에 장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에 수급 환경이 개선되면서 외국인은 전날 코스피 현물 1천15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에 힘을 실었다.
다만 최근의 원/달러 환율 하락은 국내 경제 펀더멘털 개선에 따른 자연스러운 원화 절상(달러 하락)보다는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나올 원화 절상 요구에 대한 선반영과 미국 국채 금리에 대한 불안 요인이 작용한 면이 크다.
이에 원/달러 환율 하락이 한국 투자 매력 확대로 이어지는 연결 고리가 예전보다 느슨해질 수 있고, 오히려 환율 하락에 따른 수출주 약세가 부각되며 외국인 순매수가 오래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는 증권가 전망이 있다.
또한 미국의 재정 적자 확대 우려에 미국 자산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달러 약세 요인), 이것이 글로벌 증시에 충격을 주는 흐름이 재현된다면 코스피도 유탄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한국시간으로 28일과 29일 진행될 미 국채 2년물·5년물 입찰 결과와 이에 따른 시장 반응에 시장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날 국내 증시는 차익실현 성격의 되돌림이 장 초반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장중에는 환율과 내일 새벽 예정된 미 국채 2년물 입찰 등의 변수를 둘러싼 대기 심리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입찰 부진에 미 국채 금리 급등을 야기한) 미 국채 20년물은 다른 국채보다 인기가 적어 정확한 투자자 수요를 파악하기는 어렵다"며 "5년물 입찰 결과가 진짜 시장 심리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ori@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인기검색 20종목
-
2
대덕(008060) 소폭 상승세 +3.40%
-
3
SKAI(357880) 소폭 상승세 +4.80%
-
4
상신이디피(091580) 상승폭 확대 +9.37%
-
5
포바이포(389140) 급등세 기록중 +20.79%, 8거래일만에 반등
-
6
LG화학(051910) 소폭 상승세 +4.59%, 외국계 매수 유입
-
7
코오롱모빌리티그룹(450140) 상승폭 확대 +7.05%
-
8
인성정보(033230) 소폭 상승세 +3.20%, 외국계 매수 유입
-
9
나인테크(267320) 소폭 상승세 +3.09%, 4거래일 연속 상승
-
10
디엔에프(092070) 상승폭 확대 +7.59%, 4거래일 연속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