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로 다가온 '플라잉 택시' 중동서 비행 성공에 관련주↑
오대석 기자(ods1@mk.co.kr)
입력 : 2025.07.01 17:49:22 I 수정 : 2025.07.01 19:16:23
입력 : 2025.07.01 17:49:22 I 수정 : 2025.07.01 19:16:23
조비 에비에이션 11% 급등
아처·바이런먼트도 상승세
최근 미국 증시에서 '플라잉 택시(Flying Taxi)' 관련 기업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일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조비 에비에이션은 전 거래일 대비 11.76% 오른 10.5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조비 에비에이션뿐 아니라 아처 에비에이션(3.63%), 에어로바이런먼트(2.47%), 제나테크(6.38%) 등 플라잉 택시 관련주도 대부분 상승세를 나타냈다.
플라잉 택시 관련 기업 주가가 강세를 보인 것은 조비 에비에이션이 중동에서 조종사가 탑승한 채 수직 이착륙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조비 에비에이션은 아랍에미리트(UAE)에 첫 플라잉 택시를 인도했으며 유인 시험비행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2026년부터 중동지역에서 상업 운항을 시작할 계획이다. 플라잉 택시는 사람이나 물건을 태울 수 있는 수직 이착륙 소형 항공기로, 도심항공교통(UAM)으로도 불린다. 도심의 교통문제를 해결할 대안이자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체계를 도입하라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시장 기대감이 커졌다.
이 때문에 조비 에비에이션 주가는 올해 들어 29.76% 상승했으며 아처 에비에이션도 지난 4월 1일 이후 석 달 새 55.89%나 뛰었다.
다만 상용화를 위해 각국의 낮지 않은 항공 규제를 넘어야 하는 과제도 남아 있는 만큼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대석 기자]
아처·바이런먼트도 상승세
최근 미국 증시에서 '플라잉 택시(Flying Taxi)' 관련 기업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일 뉴욕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조비 에비에이션은 전 거래일 대비 11.76% 오른 10.55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조비 에비에이션뿐 아니라 아처 에비에이션(3.63%), 에어로바이런먼트(2.47%), 제나테크(6.38%) 등 플라잉 택시 관련주도 대부분 상승세를 나타냈다.
플라잉 택시 관련 기업 주가가 강세를 보인 것은 조비 에비에이션이 중동에서 조종사가 탑승한 채 수직 이착륙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소식 때문이다. 조비 에비에이션은 아랍에미리트(UAE)에 첫 플라잉 택시를 인도했으며 유인 시험비행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회사는 2026년부터 중동지역에서 상업 운항을 시작할 계획이다. 플라잉 택시는 사람이나 물건을 태울 수 있는 수직 이착륙 소형 항공기로, 도심항공교통(UAM)으로도 불린다. 도심의 교통문제를 해결할 대안이자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체계를 도입하라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시장 기대감이 커졌다.
이 때문에 조비 에비에이션 주가는 올해 들어 29.76% 상승했으며 아처 에비에이션도 지난 4월 1일 이후 석 달 새 55.89%나 뛰었다.
다만 상용화를 위해 각국의 낮지 않은 항공 규제를 넘어야 하는 과제도 남아 있는 만큼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대석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단독] 공정위, 인천·경기 사무소 수도권에 추가 설치 추진
-
2
“중국산 이기기 쉽지 않네”…위기에 빠진 한국기업들, 신용등급 줄강등 현실로
-
3
[속보] 노동계 1만1천260원·경영계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
-
4
노동계 1만1천260원·경영계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종합)
-
5
식약처, '무신고 수입' 쿠쿠 전자레인지 오븐팬 회수
-
6
농식품부, '럼피스킨 발생' 프랑스산 소고기 수입 금지
-
7
극지연구소 김지희 박사, 남극환경보호위원회 부의장 선출
-
8
“양육비 못 받으시면 나라가 먼저 드려요”…올해 하반기에 바뀌는 것들
-
9
1만1천260원 vs 1만110원…내년 최저임금 노사 격차 여전히 커(종합)
-
10
“한국, 중국 의존도 너무 심해”…산업 경쟁력에 고용까지 위협받는다